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24049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의료형사사건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urden of Proof in the Remedy System for Damage from Medical Accident - Focusing on A Medical Criminal Case

 


  • 저자명 하신욱(HA SHIN WOOK)
  • 학술지명 형사법의 신동향
  • 권호사항 Vol.56 No.- [2017]
  • 발행처 대검찰청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73-307(35)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
  • KDC 364
  • 주제어
  • 의료형사사건 ,의료과실 ,인과관계 ,입증책임 ,엄격한 증명 ,병원 감염사건 ,염기서열분석 ,의료피해 구제제도

  • 초록

의료인이 의료행위를 행하면서 당시의 의학지식 또는 의료기술에 기반한 주의의무를 게을리 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환자에게 상해나 사망의 결과가 발생하거나 재산상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우리나라에서 환자나 유족을 구제할수 있는 제도에는 화해계약,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약칭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 형사고소 등이있다. 이중 민법상 손해배상청구소송은 분쟁을 최종적확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이나 의료인의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환자 측이 지는 부담이 있고,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은 의료 소비자인 환자의 입장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으나 의료사건에 대한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형사고소는 수사기관이 범죄혐의 입증에 필요한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의료인의 과실을 입증할 자료가 확보될 수 있으나 고소로 인해 당사자의감정이 격화되어 원만한 해결이 어려워질 수 있고, 조정중재원의 의료분쟁조정중재제도는 의료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감정부에서 사실관계와 분쟁 관련 쟁점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의학적인 검토까지 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당사자가 조정결정에 동의하지 않으면조정이 성립하지 않는 임의적 조정기구의 한계가 있다.

 

  • 목차

. 서 론

. 의료행위의 의의와 특성

. 의료과실의 정의와 유형

. 우리나라 의료사고 피해자구제제도

1. 개 관

2. 현 황

. 의료민사, 의료형사사건에서의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1.

2. 의료민사사건

3. 의료형사사건

. 의료형사사건에서 과실과 인과관계 입증 사례

1.

2. 사안의 개요

3. 의료과실의 입증

4. 인과관계의 입증

5. 소 결

. 결 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8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7
97 17 신경과학 정신장애범죄인과 사법적 처우 / 최민영 2018  207
9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95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94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93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1
92 9 보건의료 의료관광 서비스접점별 품질평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 김혜영 2018  199
91 20 죽음과 죽어감 농촌노인의 자살시도경험 / 정명희 2017  198
90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7
89 4 보건의료 철학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영향요인 확인 / 조영희 2017  196
88 9 보건의료 2014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정혜승 외 2015  195
87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요양병원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재 2017  194
86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ㆍ완화의료의 정책 / 장윤정 2018  192
85 1 윤리학 임상 치과위생사 양성제도와 법체계 개선을 위한 업무범위 분석 연구 / 송여주 2010  191
»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피해구제제도에서의 입증책임 연구 / 하신욱 2017  189
8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의 구성 요건: 의료인을 중심으로 2012  188
82 15 유전학 생명의료윤리 교육방법으로서 결의론에 관한 연구/박인숙 2018  186
81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4
80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82
79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