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0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의료경영학전공 2016.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0163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Comparative study between determinants of health institution utilizaition and primary care utilization at two sectors in Seoul : based on chronic-disease
  •  저자  : 조영훈
  • 형태사항  : ⅵ, 4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 박상찬
  • 참고문헌: p. 44-4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의료경영학과 의료경영학전공 2016. 2
  •  DDC  : 658-E 2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2016
  •  주제어  : 지역사회건강조사,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만성질환, 보건기관, 1차 의료기관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남구와 강북구의 보건기관 이용 요인 및 1차 의료기관의 이용 행태를 알아보고 보건기관 이용 요인과 1차 의료기관 이용형태를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보기위해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 자료는 서울서베이 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자료이다.
서울서베이 조사를 바탕으로 강남구와 강북구를 선택하였고,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얻은 각각의 세부 변수들을 SPSS로 X²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보건기관 이용 여부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SPSS로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요청한 자료의 항목은 R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정제한 후 그래프로 시각화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득에 따라 나뉜 두 지역구는 다른 변수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으며, 보건기관 이용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건강수준 요인으로는 강북은 고혈압이었으며 강남은 천식이었다. 둘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강남구와 강북구의 1차 진료기관 이용차이를 도출했고, 강북구는 순환기계질환과 호흡기질환이 강남구는 내과적 질환과 호흡기 질환 및 정신과질환이 주요 질환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조사의 결과를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와 비교를 했을 때, 지역사회조사의 결과는 강북구에서는 보완됨을 알 수 있었고 강남구에서는 한계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강북구와 강남구의 만성질환과 관련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보건기관과 1차 의료기관이 지역사회의 건강 개선을 위해 예방적 차원의 노력을 함께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고혈압과 천식 그리고 정신질환이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동시에 지역사회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발적 노력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3
제2장 이론적 배경 5
2.1. 기관조사 5
2.1.1 2014 서울서베이 조사 5
2.1.2 지역사회건강조사 6
2.2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 7
2.3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차이에 관한 선행연구 8
2.3.1 지역별 소득격차와 건강수준과의 상관관계 8
2.3.2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에 관한 요인 9
2.3.3 건강행태와 의료기관이용과의 관련성 11
2.4 1차 의료기관과 보건기관간의 상호 보완성에 관한 선행연구 12
제3장 연구 방법 14
3.1 용어의 정의 14
3.1.1 만성질환과 만성질환의 요인 14
3.1.2 보건의료기관 15
3.1.3 1차 의료기관 16
3.2 연구의 모델 16
3.3 연구자료 및 대상 17
3.4 활용된 변수 17
3.4.1 독립 변수 18
3.4.2 종속 변수 19
3.5 자료수집 방법 19
3.6 자료분석 방법 20
제4장 연구결과 21
4.1 2014 서울서베이 조사를 통한 각 구별 소득분석 21
4.2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통한 보건기관 이용분석 22
4.2.1 기초통계량 분석 22
4.2.2 강남구와 강북구의 차이분석 24
4.2.2.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24
4.2.2.2 건강행태에 따른 차이분석 26
4.2.2.3 건강수준에 따른 차이분석 27
4.2.3 보건기관 이용에 대한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28
4.2.3.1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변수선정 28
4.2.3.2 다중공선성 진단 29
4.2.3.3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모형 30
4.3 심사평가원자료를 통한 1차 의료기관이용 분석 34
4.3.1 강북구와 강남구의 질병코드와 진료과의 차이 분석 34
4.3.2 두 지역구의 연령별 질병코드 및 진료과 현황 분석 35
4.3.2.1 만성질환 진료과별 및 질병코드별 총 환자수 36
4.3.2.2 만성질환 진료과별 및 질병코드별 총 진료건수 37
4.3.2.3 만성질환 진료과별 및 질병코드별 진료비총액 38
제5장 논의 39
제6장. 결론 및 제언 42
참고 문헌 44
부 록 47
영문 요약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23
19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2
1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 김종호 2018  173
17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5
16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12
15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8
1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2
1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7
12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1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1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9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8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70
7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50
6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4
5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50
3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4
2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4
1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