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박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12466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http://www.riss.kr/link?id=T14512466 

저자 : 박주호 

형태사항 : vii, 182 p. ; 26cm

일반주기 : 지도교수김인규참고문헌: p. 108-114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2017. 2

발행국 : 전라북도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7

주제어 : 이상심리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들이 겪는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자살관념을 감소시키고 자살을 예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대상자들에게 실험한 후 그 효과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4월부터 201611월까지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후 효과검증까지 총 8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내용은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전체 및 회기별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생명윤리위원회(IRB)에 심의 및 승인을 받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타당성 검증 실시 후 1차 보완 및 수정을 하였다. 사전검사 실시 후 자살고위험군 분류 및 연구대상자 15명을 선정하여 예비처치군을 대상으로 예비프로그램 5회기 실시 후 2차 보완 및 수정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검증단계에서는 실험처치군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을 5회기 진행하고 실험처치군과 무처치통제군에 대한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최면상담 사례기술 및 프로그램 실행평가의 설문응답 결과를 통한 1차 효과성 검증 및 결과 도출과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여 비교 분석한 후 2차 효과성 검증 및 결과를 도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통계분석을 이용하였고,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군의 각 변인들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우울(CES-D)척도는 평균 25.80점 감소하였고 한국형 성격평가질문지(PAI)의 불안(ANX)척도는 평균 24.20점 감소, 불안관련 장애(ARD-T, 외상 후 스트레스)척도는 평균 31.00점 감소, 우울(DEP)척도는 평균 27.80점 감소, 자살관념(SUI)척도는 평균 27.60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처치통제군에 대한 각 변인들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처치군을 대상으로 진행한 프로그램을 종료한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그로부터 1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처치군의 우울척도(CES-D), 불안(ANX), 불안관련 장애(ARD-T,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DEP), 자살관념(SUI)의 변인들에서 모두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자살 6

. 자살의 정의 6

. 자살행동의 이해 8

. 자살행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 11

2. 최면상담 15

. 최면의 개념 15

. 최면치료와 최면상담 16

. 최면상담의 개발과 효과 17

. 최면상태의 특징 20

. 최면활용분야 24

. 최면의 안정성 26

. 최면유도의 원리와 유도과정 28

III.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32

1.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32

2. 최면상담 예비프로그램 구성 34

3. 예비프로그램 타당도 검증 48

4. 예비처치군 선정 및 예비프로그램 실시 50

. 예비연구대상자 모집 및 선정 50

. 자살예방 최면상담 예비프로그램 실시 51

. 예비처치군 프로그램 실행 효과분석 53

5.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결과 57

IV.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70

1. 연구대상 70

. 연구대상자 모집 71

. 연구대상자 선정기준 및 특성 71

2. 연구절차 73

. 자살예방 최면상담 프로그램의 운영 73

. 연구기간 및 장소 74

. 측정도구 74

3. 자료의 분석 및 처리 77

. 효과성 분석의 통계적 접근방법 77

4. 연구 결과 79

.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의 동질성 검증 79

.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 사전 - 사후검사 비교 분석 82

. 실험처치군 - 무처치통제군 각 변인별 사전 - 사후검사 비교 84

. 실험처치군 사후 - 추후검사 비교 분석 89

. 실험처치군 프로그램 평가결과 92

. 상담회기 질적 분석 94

. 요약 및 논의 103

참고문헌 108

ABSTRACT 115

부 록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2
4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4
4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윤리학적 고찰 / 조병필 2005  560
47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5
46 20 죽음과 죽어감 Euthanasia : 좋은 죽음에 관한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연구 / 허반석 2015  531
4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3
»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2
4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6
42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김원정, 강지숙 2015  472
4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4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3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7
38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37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36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7
3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시술의 중단에 관한 법적 연구 / 조민석, 문하영 2014  410
34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9
3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90
3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청소년 죽음교육 모형 개발/정재걸 외 2015  367
3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