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의사협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553033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

=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http://www.riss.kr/link?id=A103553033 


  • 저자명 : 우준희 ,장미수
  • 학술지명 : 대한의사협회지(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권호사항 : Vol.59 No.8 [2016]
  • 발행처 : 대한의사협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622-628(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6년
  • 등재정보 : KCI등


  • 초록

작년 11월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하여 C형 간염이 확산되었다는 사건에 대한 언론보도를 계기로 올해 5월 일회용주사기 재사용 금지 의료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제 더욱의료 관련 감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의료 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이라는 용어는 의료행위와관련되어 발생되는 감염으로 정의하고 있고[1-4], 실제적으로 의인성 감염(iatrogenic infectious diseases)을 이제는 의료 관련 감염에 포함하여 연구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의인성 감염을 의료 관련 감염에 포함시켜 기술하고자 한다. 감염학계에서 그리고 정부와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이미 의료관련 감염으로 의인성 감염을 포함하여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에 대하여 논의하겠다. 의료 관련 감염은 원래는 병원에 입원하고 48시간 지나서 발생한 감염으로 정의하였으나 점차 의미가 확산되어대상을 입원환자는 물론 외래환자를 포함하고 병원에 근무하는 직원, 의료종사자도 아우르게 되었다. 입원하였다가퇴원한 환자가 입원 시 획득된 미생물에 의해 발병된 감염도 같은 범주에 넣어 치유하게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의료 관련 감염관리 현황에 대한 연구는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에서 시작하였다[1,3]. 국제적으로 1975-1976년 원내감염조절효과연구(SENIC project,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cal Infection Control) 자료를 살펴보면 3,770만 입원환자에서 210만 례의원내감염이 미국 6,449(급성치료)병원에서 발생하여 100입원에서 5.7감염의 비율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5-7]. 현재는 세계적으로 원내감염에 취약한 면역저하환자가 과거보다 증가하여 대략 10% 이내로 발생률을 추정하고 있다[1-4]. 여러 가지 연구의 결과로 감염관리를 하면 의료 관련 감염을 30%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고, 손 위생을 비롯하여미연에 방지하는 방안(Table 1), 즉, 의료 관련 감염관리를위한 표준주의 등이 개발되어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8-11], 경제적 부담, 의료시설의개선 등 개인적으로 실행하기에는 해결할 수 없는 여러 난제는 사회적 과제로 등장하여 국가가 의료 관련 감염에 대한대책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3-6]. 본 논문에서는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원인인 내성세균과 함께 의료 관련 감염의4대 과제인 폐렴, 요로감염, 창상감염, 그리고 혈관장치 관련 혈류감염의 예방과 치료를 정리하려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6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이경남, 김분한, 이훈희 2010  342
1367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42
1366 2 생명윤리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목광수 2014  343
13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1364 1 윤리학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 소병철 2017  343
1363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1362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공학자의 사명과 역할/김경천 2002  344
1361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 캘리포니아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제 분석 2017  344
1360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 9 보건의료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 / 우준희, 장미수 2016  344
1358 2 생명윤리 연명의료에 대한 윤리적 논쟁 / 홍준표 2018  345
1357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5
13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5
135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불확실성과 간 공여 영향 요인 / 전희옥, 박호란, 박진희 2005  345
1354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의 태도: 완화적 진정을 중심으로/오승민 외 2016  345
135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1352 23 연구윤리 연구 관련 이해상충에 대한 법정책적 문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8  345
1351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6
135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46
1349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