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0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An Ethical Response Model for Genome Editing Technology - Focusing on 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

http://www.riss.kr/link?id=A104891120 

• 저자명 : 목광수(Kwangsu Mok)
• 학술지명 : 생명윤리
• 권호사항 : Vol.18 No.2 [2017]
• 발행처 :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20(20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유전자 편집기술 ,리스크 ,불확실성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 ,전임상과 임상 연구 ,유전자 가위 ,genome editing technology ,risk ,uncertainty,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preclinical research and clinical trial ,programmable nuclease (or gene scissors)


  • 초록

현재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있는 과학기술 중 하나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학계의 입장은 적극적인 수용론부터 신중론, 그리고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학계의 다양한 입장과 달리, 사회적으로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가져올 유전질환 치료와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적극적으로 이 기술을 수용하자는 분위기이다. 한국 사회는 한국의 과학자가 유전자 편집기술과 관련된 세계적인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편승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를 거쳐 의학적 사용이 현실화 되었을 때 나타날 경제적 효과와 치료의 희망으로 인해, 이 기술 자체에 대한 윤리적 검토, 그리고 이 기술을 통한 전임상과 임상 연구 과정에서의 윤리적 논의가 외면되는 듯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적정한 개념 이해에 근거한 것인지, 유전자 편집기술은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윤리적인 것인지, 그리고 유전자 편집기술이 초래할 리스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야 하며(Ⅱ.1절), 둘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이러한 구분을 토대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임상 단계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고(Ⅱ.2절), 셋째, 유전자 편집기술이 발전 과정에서 초래할 리스크는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되어야 한다(Ⅲ절)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기술의 발전에 대해 지나친 낙관이나 과도한 기대보다는 기술적 진보에 대해 냉철한 평가를 해야 하며,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전임상 단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윤리적 연구 과정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성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 윤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유전자 편집기술의 의미에 대한 분석
Ⅲ.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통한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Ⅳ. 나오는 글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50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와 관련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분야에서의 대응방안/박보람, 남두현 2012  228
2507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2506 5 과학 기술 사회 이종이식연구자 대상 윤리교육의 시행과 그 효과에 관한 고찰 / 모효정 2010  228
2505 9 보건의료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연장을 위한 지역사회 공공 스마트 헬스케어 모델구축 / 이은환 외 2018  227
2504 9 보건의료 국내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 규정 및 주요 선진국(미국, 영국, 일본) 의료기기 임상시험 관련 규정 비교연구 / 이민주 2015  227
2503 20 죽음과 죽어감 무연고자의 연명의료결정: 제도적 관점에서 / 김보배 외 2018  227
2502 2 생명윤리 동물권 옹호론과 영장류 실험에 대한 윤리적 검토 / 추정완 외 2007  227
250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7
2500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2499 18 인체실험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한 의료법 제23조의2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 금지와 명확성의 원칙 / 김형선 2013  227
2498 9 보건의료 병원에 있어 환자중심의 가치실현을 위한 전략경영의 탐색 / 황진수, 유병남 2006  227
2497 8 환자 의사 관계 비뇨기과의 영역에서 의료책임과 최근동향 / 김기영 외 2016  227
2496 9 보건의료 미용성형수술의 법적 보호와 입법적 고려에 대한 고찰 / 김기영 2015  227
2495 18 인체실험 공동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반 조성 및 운영 방안 / 오정민 2009  227
2494 15 유전학 식물유전자원의 ABS체제 -나고야의정서와 ITPGRFA조약의 관계를 중심으로-/오선영 2014  227
2493 20 죽음과 죽어감 과학기술의 발전과 연명치료중단의 법제 / 김재경, 양승우 2012  227
2492 2 생명윤리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인식 / 심형화 2013  227
2491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26
2490 10 성/젠더 영화 「안토니아스 라인」 에 제시된 생태여성주의적 인간 공동체 연구 / 이영은 2019  226
»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