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29015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Criminal Liability of Watson for medical diagnostic assistance


http://www.riss.kr/link?id=A103229015 



  • 저자명 : 장연화(Chang, YeonHwa) ,백경희(Baek, KyoungHee)
  • 학술지명 : 형사법의 신동향
  • 권호사항 :  Vol.55 No.- [2017]
  • 발행처 : 대검찰청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316-346(31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KDC : 364
  • 주제어 : 인공지능 ,진단 ,의료과실 ,형사책임 ,신뢰의 원칙 ,의료분업 ,Artificial Intelligence ,Diagnostics ,Medical Malpractice ,Criminal Liability,Principle of Trust ,Medical Division of Labor



  • 초록


2017년 알파고는 바둑의 최고수 커제(柯洁, Ke Jie)를 상대로 압승을 거둔 후 바둑계에서 은퇴를 선언하고, 데미스 허사비스 딥마인드(DeepMind Technologies Limited) 최고경영자(CEO)는 이와 관련한 범용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nal Intelligence)을 의학 및 공학 분야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인공지능은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차세대 산업혁명인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기도 하다. 인공지능의 활용은 의료계에서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IBM사에서 개발한 왓슨(Watson)은 이미 우리나라 의료계에도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왓슨은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법을 찾아 제시하여 의사의 의료적 의사결정 과정을 돕는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나, 의사의 결정과 왓슨의 결정이 서로 상이할 경우 환자들에게 자기결정권을 부여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많은 환자들이 왓슨의 결정을 더 선호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왓슨의 결정에 따라 의료행위가 행하여졌으나 환자의 건강에 부정적 결과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형사적 책임이 문제된다. 현재 왓슨에 대하여 법인격이 인정되지 않기에 왓슨에게 독자적인 형사적 책임을 인정할 수 없으나, 왓슨의 활용이 점차 증가할 상황을 전제한다면 왓슨에 대한 사용 여부 및 그 한계에 대한 설명의무가 의료인의 설명의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법원이 판시한 바와 같이 진단상 과실 유무를 판단하는 고려요소로 의학지식 외에 의사의 전문직업인으로서 요구되는 의료윤리와 경험을 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의사가 진단과정에서 왓슨의 도움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왓슨에게 의료윤리와 경험은 전무하므로 이러한 고려요소는 의사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어 결국 진단상 과실은 자연인인 의사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 목차


Ⅰ. 서 론

Ⅱ. 의료행위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활용

Ⅲ. 진단의 의의와 진단상 의료과실

Ⅳ. 왓슨의 진단 조력에 대한 현행법상 형사책임과 관련한 문제

Ⅴ. 결 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08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3907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2007  516
390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2013  516
39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2013  516
3904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2008  515
3903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2010  515
3902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3901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2014  515
390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 서은주 외 2016  514
3899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의 안락사 논의와 입법 및 판례의 동향 / 홍석한 2010  514
3898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2008  513
389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3
3896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3
3895 20 죽음과 죽어감 윌리엄 메이(William F. May)의 생명윤리 방법론에 따른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고찰 / 김성용 2012  513
3894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3893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389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유가족 및 목격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최면상담 프로그램 개발 / 박주호 2017  512
3891 5 과학 기술 사회 [브레인 영화관_엑스 마키나(Ex Machina)] 2045년, AI(인공지능)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선다/강만금 2015  512
3890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3889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임상에 있어서 줄기세포 치료제 활용 / 고예린, 윤화영, 채준석 2012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