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81748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대법 2015. 1. 20. 선고 2012다41069 판결을 중심으로 -

= The Scope and Health-Care Proposal of Informed Consent


• 저자명: 정창우 ( Jeong Chang U )
•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Yonsei Journal of Medical and Science Technology Law )
• 권호사항 : Vol.8 No.2 [2017]
• 발행처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07-148(4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주제어 : 설명의무 , 개연성 , 통상의 의학수준 , 보건의료 정책제안 , 양수색전증 , Informed Consent , Probability , Ordinary Medical Standard, Policy Proposal for Health-Care , Amniotic Fluid Embolism

초록

대법원 2015. 1. 20. 선고 2012다41069 판결에서는 ① 옥시토신 투여에 의한 유도분만 선택 및 시행과정상 과실유무, ② 양수색전증에 대한처치상의 과실 유무, ③ 설명의무 위반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①, ②에 대해 대법원은 피고병원 의료진이 상당한 범위의 재량 안에서 선택한 진료방법으로서 합리성이 있고, 원고들이 주장하는 간접사실들만으로는 개연성이 담보되지 아니하여 과실과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없다고 판단 하였다. ③에 대해서는 망인의 분만당시인 2008년의 의료수준에 비추어, 피고병원 의료진이 양수색전증의 후유증 발생을 예견할 수 없어 이에 대해서는 설명의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본 판결의 의의는 ① 개연성이 담보되지 않은 사정만으로는 의료인에게 장래의 위험에 대한 결과예견의무를 물을 수 없고, 동시에 예견할 수 없는 그 장래의 위험은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에서도 제외된다는 새로운 법리를 전개한 것과 ② `의료수준이론`의 문제를 다루며 `통상의 의학상식`을 판단함에 있어 `세계 각국의 연구결과`를 적극 고려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4
17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3
1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기업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 정호일 외 2017  79
15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1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태도 영향 요인 / 서유리 2017  78
13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8
12 20 죽음과 죽어감 취약한 집단에서 연명의료 / 박소연 2017  74
11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70
10 9 보건의료 일본 정밀의료 관련 법제의 현황과 함의 / 이기호, 김계현 2018  70
9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8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7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6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부작용 관리시스템에 대한 고찰 / 강경묵 외 2018  61
5 9 보건의료 의료법학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8  61
4 9 보건의료 에이즈관련 의료차별방지를 위한 법적 제문제 / 강선주 2017  57
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7
2 9 보건의료 의료행위 개념의 법제화 시론 / 박정연 2018  55
1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2018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