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7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987671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Focusing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 저자명 : 김동식(Dong-Sik Kim) ,황정임(Jung-Im Hwang) ,김영택(Young-Taek Kim),우영지(Young-Jee Woo) ,정다은(Da-Eun Jung)
• 학술지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권호사항 : Vol.2017 No.- [2017]
• 발행처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발행처 URL : http://www.kwdi.re.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496(49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 337
• 주제어 : sexual health ,reproductive health ,gender inequality ,health inequality


초록 

Ⅰ. 서론 □ 들어가면서 ○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불평등이 여성과 남성의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가차원의 성평등에 기반한 건강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근거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의 배경이 되는 ‘한국사회’의 여러 모습 중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 그리고 이로 인한 ‘일·가정양립사회’에 초점을 두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젠더와 건강 연구로 계획됨. 총 3개년(2017~2019년)으로 진행되며, 각 연도별 연구 분야 및 내용은 아래와 같음. □ 1차년도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여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건강의 차이는 생물학적 및 사회적 특성의 차이에 기인함. - 사회적 차이로서 젠더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대한 불평등과 차별을 의미하므로, 특히 여성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여성의 다양한 건강 이슈 중 성과 재생산은 여성의 생애 전반에 영향을 주는 이슈로서 매우 중요함. 여성의 건강 자율성를 극대화를 위해 성 권리(sexual right)와 제생산 권리(reproductive right)는 함께 고려해야 함. -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줌. 특히 원치 않는 임신과 그로 인한 출산이나 임신중단(낙태)은 더욱 위험한 요인이 될 수 있음. - 모성이 된다는 것은 여성의 삶에서 가장 큰 사건이지만, 최적의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선택되지 않는다면 여성의 건강은 그 순간뿐만 아니라 여성의 나머지 생애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여성의 피임법 선택이 남성의 성적 만족 부합에 따라 달라지고, 안전한 피임 없이 위험한 성 관계를 요구 받으면서 여성의 몸은 남성의 성적 호기심과 즐거움, 대를 잇기 위한 몸으로 전락하게 됨. 결국 많은 여성들이 파트너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성 요구와 행위로 건강과 안전권이 침해를 받고 있음.

목차

• Ⅰ. 서 론
• Ⅱ. 국내·외 성·재생산 건강정책 현황 및 시사점
• Ⅲ. 성·재생산 관련 젠더 및 건강 상담자료 분석
• Ⅳ. 성·재생산 질환의 성별 추이와 발생위험 분석
• Ⅴ. 성·재생산 건강실태와 젠더 위험요인 분석
• Ⅵ. 성·재생산 젠더 건강이슈 및 정책 발굴 조사·분석
• Ⅶ. 결어 및 정책과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 16 환경 건강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건강영향평가의 정책적 의의 / 배현아 2015  328
36 16 환경 중국 지역 간 건강 수준 차이 원인에 관한 연구 : 티베트자치구(西藏自治區)와 흑룡강성(黑龍江省) 사례 비교 / 허신, 강민아 2015  328
35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2016  324
34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2
3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7
32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6
31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5
3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80
29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7
»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6
27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4
26 5 과학 기술 사회 사회여론 수렴방법으로서의 시민 합의회의 : 이종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 모효정, 권복규 2009  263
25 5 과학 기술 사회 사전주의의 원칙은 비과학적인가? : 위험 분석과의 논쟁을 통해 본 사전주의 원칙의 ‘합리성’ / 하대청 2010  263
24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1
23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51
22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5
21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6
20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22
19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6
18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