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99550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Use of Stem Cell in Fetal Therapy :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 저자[authors] : 이시원(Si Won Le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한국모자보건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1No.2[2017]
  • 발행처[publisher] : 한국모자보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92-99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descriptor] : amniotic fluid stem cell,fetal therapy,congenital anomalies


초록[abstracts]

[During the past decades, there has been a great evolution in the field of fetal therapy for congenital defects. Prenatal screening or diagnostic methods including non-invasive and invasive methods and fetal ultrasound have led to earlier and more accurate diagnosis of congenital anomalies. Recent advances in several therapeutic techniques including ultrasound-guided needle therapy, laser therapy or fetal endoscopy, have allowed some fetuses at risk with anatomical defects , to be corrected in utero but still, its clinical indications remain limited. Over the last 30 years, many researchers found usefulness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amniotic fluid and placenta because they are sources of diverse progenitor cell populations called mesenchymal stem cells. In some human conditions like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nd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fetal therapy using stem cell replacement showed some promising results in researches bu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apply in clinical setting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a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 of stem cell therapy for treatment of congenital fetal anomalies.]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본론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  태아치료의 현재  양수내 줄기세포를 이용한 자궁내 태아치료  양수내 줄기세포의 성장 및 특징  실험적인 근거  실험에서 임상적인 적용으로의 변형  윤리적인 측면  임상적인 적용  결론 및 미래의 전망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68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6
»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3466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6
3465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3464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6
3463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3462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3461 19 장기 조직 이식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박혜지 2014  375
3460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2014  375
3459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 삶을 바꿀 2045년 미래로봇 /강철구 외 2015  375
3458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5
345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3456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4
3455 22 동물복지 동물실험과 심의 / 김명식 2007  374
345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4
3453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2015  374
3452 1 윤리학 변호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법적구성과 유형화를 중심으로 / 권혁종 2018  373
3451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345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3
3449 16 환경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수향, 이승하 2016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