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17691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Birth of child through sperm donation and civil legal issue


  • 저자[authors] : 윤석찬(Yoon, Seok-Cha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재산법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34No.4[2018]
  • 발행처[publisher] : 한국재산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193-220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365
  • 주제어[descriptor] : 공공정자은행,민간정자은행,인공수정자,불임부부,입양,정자기증,Public Sperm Bank,Private Sperm Bank,Artificial Modifier,Infertile Couple,Adoption,Sperm donation


초록[abstracts]

[우리나라에서는 정자기증이 음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기증받은 정자로 태어난 아이가 자신의 출생과 관련한 정자기증자의 신원 등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고 기대하기도 힘들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노령화, 특히 가임여성의 노령화 등으로 점차 인공수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환경호르몬의 영향 등으로 남편의 정자로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는 가정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 서는 그 불임부부가 아이를 가지려면 남편이 아닌 타인의 정자를 기증받아 인공수정을 통하여 아이를 갖게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도 점차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의 공공정자은행의 설립이 요구되고 그로 태어난 정자기증자로 태어난 인공수정자에 대한 법리적 구성도 강구되어야 한다. 공공정자은행을 통하여 국가주도의 공적관리와 국가예산이 배정되어 보다 저렴한 불임 시술비가 담보됨으로 인하여 불법적인 정자매매의 거래를 막고 출산율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배아생성 의료기관도 합법적 경로를 통한 정자의 확보 등을 통하여 정상적인 정자은행 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저출산 문제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저 출산 문제를 영아유에 대한 입양이라는 측면에서도 해결할 수도 있고, 나아가 근본적인 출 생의 시점으로 돌아가서 공공정자은행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대리모계약의 예외적 허용은 인정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제는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같은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정자를 국가자원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주도의 공공정자은행의 설립이지 체되고 있던 중 이미 케미메디 관계사인 바이오숲이 국내 최초 민간정자은행을 설립했다. 이러한 민간정자은행은 향후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따른 불임 및 난임치료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을 예상하면서 설립된 것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650개 이상의 민간정자은행이 운영되고 있으며, 중국, 영국 등도 정자은행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자은행에서 정자기증자의 정자에 의해서 출생하게 된 자는 차후에 성장하여 정자기증자에 관한 정보공개를 청구할 경우도 비일비재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정자기 증자의 프라이버시권과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공개청구권의 충돌이 일어나는 상황이다. 이때에는 정자기증자의 입장에서는 결코 자신의 개인정보가 알려지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서 자신의 개인정보에 관한 비밀유지의무를 사전에 정자제공계약을 통하여 정자은행측에 이미 부과한 것이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독일법원의 판단을 보면 독일 민법 제242조의 신의칙 원칙으로부터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제공청구권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기 위해서는 당사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법적 관계로서 첫째, 권리주장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권리의 존재 혹은 자신의 권리의 범위에 관하여 불확실한 상태이어야 하고, 둘째, 의무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의 제거를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제공을 어렵지 않게 이행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는 두 가지 요건이 요구된 것이다. 향후 우리 법원도 이러한 판결취지를 보다 면밀히 이해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머리말 Ⅱ. 익명의 정자기증과 그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제공청구권에 관한 독일의 판례 Ⅲ. 공공정자은행 및 정자기증에 수반하는 법적쟁점 Ⅳ. 맺음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0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1
»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1
270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2705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51
2704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2703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2702 16 환경 나고야 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우리나라 입장에 관한 제언/김명자, 손영현, 김혜영 2014  251
2701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270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유전자 윤리/홍정화 2010  251
2699 22 동물복지 생명존중문화를 위한 국내 동물실험윤리의 한계와 전망/박창길 2016  251
2698 18 인체실험 KAIRB의 IRB 평가분석을 통한 국내 피험자보호제도(HRPP) 개선방향 / 최병인 2012  251
2697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2696 5 과학 기술 사회 현행 성폭력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보완방향 / 김태명 2018  250
2695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50
2694 9 보건의료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손인아 2013  250
26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 김원걸 2016  250
2692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50
2691 15 유전학 웹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유전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 송명선 2012  250
2690 5 과학 기술 사회 [편집장 칼럼] 브레인 2016 3대 키워드 : AI(인공지능), 뇌파, 감정 관리/장래혁 2016  250
268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2015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