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률실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32214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Regulations and Basic Principles of the EU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저자[authors] : 이형석(Lee, Hyeong-Seo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법률실무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6No.1[2018]
  • 발행처[publisher] :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39-73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 주제어[descriptor] : 개인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법,프라이버시권,정보의 자유,정보의 이동,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act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the right to privacy,the freedom of information,the transfer of information


초록[abstracts]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우리의 생활은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기술의 진보의 이면에는 무차별적이고 광범위한 개인정보가 수집에 관련된 문제가 있다. 국가는 정책의 형성과 운영의 필요에 따라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하고 있지만 정보의 주체인 국민은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국가라는 한정된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국가 간의 이익을 위하여 제3국으로 전송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공지능이 제조업의 영역뿐만 아니라 사무영역이나 정보의 수집 절차에 적용되면서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의 목적은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국가와 제3자의 간섭을 배제하고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발전된 프라이버시권의 보호에 있다. 또한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자유도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쟁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EU에서는 개인정보보호에 관련된 법제를 제정하고 개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면서 정보의 자유를 보장하고자 노력하였다. 최근 2018년 발효를 앞두고 있는 EU개인정보보호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은 유럽지역에서 개인정보를 사용하려는 기관 및 기업으로부터 개인정보를 보호하려는 규제이다. EU의 구성국은 이러한 규제를 통하여 유럽이라는 지역적 인권의 보장과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의 보호를 위한 국가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EU 지역 내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법제의 변천과정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들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EU에서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기본적 범위  Ⅲ. 개인정보보호의 원칙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 윤리학 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본원칙 / 이형석 2018  134
4366 1 윤리학 GDPR 환경에서 국내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증제도 및 표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최보미 외 2018  72
4365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4
4364 5 과학 기술 사회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 윤자영 2018  98
4363 1 윤리학 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을 중심으로 / 엄도영 외 2018  125
4362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유은순 외 2018  203
4361 1 윤리학 인(人) 이외의 존재에 대한 법인격 인정과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이경규 2018  245
436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활용한 정책결정의 유형과 쟁점에 관한 시론 / 윤상오 외 2018  173
4359 1 윤리학 인공지능에 대한 민사책임 법리 / 정진명 2018  78
435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2018  68
435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교통데이터 처리ㆍ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 필요성 / 양충헌 2018  95
4356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과 인공지능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 : 미디어 심리학 관점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오예정 2018  364
435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5
435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허정미 2018  83
4353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2018  412
4352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입법과제 및 개선방안 연구 / 김진영 2018  171
4351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 이현옥 2018  185
4350 9 보건의료 문재인 케어의 쟁점과 정책 방향 / 강희정 2018  299
4349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9
4348 19 장기 조직 이식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장기 모델 / 이상훈 2018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