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556143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How Aware Elderly Subjects are of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s and Their Adverse Events - A Survery

  • 저자[authors] 임지연,이호준,권범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6No.3[2012]
  • 발행처[publisher] 대한노인병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1-1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초록[abstracts] 
[Background: Along with the recent greater number of medical devices for the elderly in the market, there has been a parallel increase in the number of clinical trials for these devices. It is uncertain, though, whether the target population has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se clinical trials and the possible adverse events of the devices.  Methods: A total of 147 elderly subjects (mean age, 65.8±8.3 years; 39 mal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 pilot study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2009 with the actual survey taking place from June to November 2011. The questionnaire included 22 items-10 items on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trial; 4 items on the understanding of adverse events; and 8 items o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e responders, 62.5% had participated in at least one clinical trial and had heard about the clinical trials through a doctor, newspaper, or television. And 63.3% of the responders understood that the purpose of the trial was to show efficacy and safety for the medical dev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wareness of the trial by gender and life leve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verse events awareness.  Conclusion: Although elderly subjects participate in clinical trials, it seems they do not receive enough information when involved in clinical trials of medical devices. In the future, before these trials are carried out, medical device companies need to ensure that they provide their elderly subjects with better education and information.

연구 배경: 최근 국내에서 의료기기 산업의 발전 및 고령화사회로 노인 대상 의료기기 임상 시험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의약품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는 연구는있으나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노인들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와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인지도 조사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47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기임상 시험과 부작용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를위한 설문지 작성을 위하여 2009년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고그 내용을 기반으로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는 여러차례에 걸쳐 의료기기 임상 시험 센터 및 부작용 보고 자문위원단으로 구성된 전문가들로부터 검토를 받았다. 이 설문지를이용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2010년6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의약품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에 비해 의료기기임상 시험의 인지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임상 시험 경험에 따른 ‘의료기기 임상 시험용어 들은 경로’,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목적’에 따라 유의하게차이가 나타났으나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대상’에 대한 질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의료기기 임상시험의 목적’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력 수준에 따른차이는 없었다. 생활 수준에 따라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용어를 들은 경로’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고, 종교에 따른 차이는없었다. 의료기기 임상 시험 인지 여부와 의료기기 부작용 인지 여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의료기기 임상 시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조사되어 지속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의약품의 경우에 비하여 의료기기 임상 시험의 인지도가낮은 것은 임상 시험의 규모가 작으므로 예상된 결과이지만,의료기기 산업이 부가가치가 높고 친고령 의료기기 산업의발전 양상을 고려하면 노인군을 대상으로 한 의료기기 임상시험 인지도 제고가 시급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22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이식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 / 송영민 2007  69
422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9
4226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2011  69
422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의료인의 양심적 거부에 관한 고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하는 의료인의 양심 / 김대균 2017  69
4224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5  69
4223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조공학 활용 방안에 관한 소고 / 김용욱 외 2018  69
4222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2013  69
»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2012  69
4220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2018  69
4219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4218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2009  69
4217 9 보건의료 누구를 위한 임상시험인가 / 김남희 2018  69
4216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4215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2018  69
421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2004  69
4213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다원적 성격과 정책적 시사점 /김종훈 2018  69
4212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2018  69
4211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2018  69
4210 2 생명윤리 생식력자각이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숙희 2013  69
4209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