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통합유럽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34164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The German Childbirth Policy and Gender Implications

  • 저자[authors] 박채복(Park, Chae-Bo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통합유럽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1[2018]

  • 발행처[publisher]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9-21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독일,출산지원정책,이인소득자모델,부모휴직수당제도,젠더,이주,Germany,childbirth policy,the dual earner model,the parental leave policy,gender implications,migration


초록[abstracts] 
[출산지원정책은 독일사회의 저출산 및 고령화현상에 직면한 독일사회의 핵심의제 중 하나이며, 이는 국가의 경쟁력 강화와 직결된 문제로 가족문제의 정치적 이슈화 과정과 가족복지정책의 공적 담론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출산지원정책 가운데 2007년부터 시행된 부모휴직 수당제도는 지속가능한 가족정책을 기반으로 독일사회가 남성생계부양자모델에서 이인소득자모델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독일에서 부모휴직수당제도의 시행으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는 인구통계학적 문제로 인한 저출산 및 고령화문제의 해결과 함께, 자녀양육에 대한 남녀 공동책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젠더적 함의를 지니며, 그 시사점이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지속가능한 성장과 복지를 위한 가족정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독일사회가 부모휴직수당제도를 출산지원정책으로 시행하고 있음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출산지원정책이 얼마나 젠더정책의 방향과 성격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출산지원정책의 패러다임에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childbirth support policy has become the subject of public discourse in the process of political issue of family matters in Germany and is a core part of the family welfare policy,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strengthen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line with the phenomenon of low fertility and aging of German society. In particular, the parental leave policy,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7 in Germany, is an important milestone in the transition from the male breadwinner model to the dual earner model based on sustainable family policies. The various soci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in Germany are aimed at solving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and aging due to demographic problems. And that it provided the opportunity to shift social awareness of gender responsibilities for child rearing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active intervention by the state.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 implications of childbirth policy in Germany.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family policies for sustainable growth and welfare,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s of the changes of the German childbirth policy from the gender perspective. The character of the important reforms and their result of german childbirth policy have been analyze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nder policies and the paradigm of fertility policies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s active intervention.]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변천과정  Ⅳ.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현황 및 내용  Ⅴ. 결론 : 가족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및 젠더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8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3387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9
3386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3385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9
3384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3383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3382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3381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9
3380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김성한 2018  119
3379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19
3378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3377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
3376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3375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20
3374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3373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3372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20
3371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337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3369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