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25379 
영유아 대상으로 한 IoT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분석 연구

  • 저자[authors] 신은주,김호권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2[2018]

  • 발행처[publisher]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1-5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IoT, 헬스케어, 스마트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영아, 유아


초록[abstracts] 
[실생활의 오프라인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스마트 기기로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는 고령화 현상, 의료비 급등,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의 의료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 삶의  질 개선 등의 사회적 변화로 급성장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의 대상은 환자, 일반인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건강한 육아를 위한 영유아와 보호자로 확대되어 서비스, 정보 제공자, 이용자의 범위도 다  양화되고 있다. 하지만 영유아를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 개발은 초기 단계로 아이의 요구사항, 건강,  안전 및 발육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여 위험알림, 건강 상태, 양육을 위한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  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본 논문에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영유아 헬스케어 IoT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기 개발 단계인 영유아 헬스케어 IoT는 건강 관리, 질병 예방, 신변  안전 등 건강과 안전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데 부모의 올바른 양육 교육과 유아의 건강한 생활 교육  등의 복지와 교육 분야로 콘텐츠의 외연 확장이 가능하며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를 높이기 위  해 엔터테인먼트 분야와의 접목으로 캐릭터나 게임 디자인 개발과 함께 초소형, 초경량의 웨어러블과  기존의 상품의 스마트화가 촉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mart health care that provides analyzed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integrating physical data via  smart devices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social changes that includes aging phenomenon, the increase  of medical expenses, the change of medical service paradigm from treatment to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living quality. Smart health care targets is expanded to not only patients but also healthy  public and more infants, toddlers and parents so that the range of services and information providers are  diversified. However, the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for infants and toddlers needs more studies to  monitor the child's needs, health, safety, risk notification, health status,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service. Consequently, related case studies i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development future  direction is suggested in this paper. As a result, IoT is focused on the health and safety such as health  care, disease prevention, and personal safety in its early stage. However,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ntents in the welfare and education fields such as healthy caring and educating infants and toddlers. In  order to increase the more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young children, it is be promoted that existing  products is going to be smarter by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game design for the entertainment,  the compact size, and lightweight wearab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8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3387 4 보건의료 철학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 김문옥 2015  360
338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3385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위헌성 / 허완중 2018  359
3384 22 동물복지 반려동물 의료체계의 문제점 및 제도개선 방안/ 박주연 외 2017  359
3383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윤리에 대한 연구 : 『책임의 원칙』을 중심으로 / 윤동진 2003  359
3382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3381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33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주체/최재원 2017  357
3379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3378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6
3377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6
3376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6
3375 4 보건의료 철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허아영 2019  355
3374 9 보건의료 현대의학의 '개별 맞춤 의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임영채 2012  355
3373 1 윤리학 독일법상 동물보호를 위한 단체소송 / 송동수 외 2017  355
3372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337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3370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5
3369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