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경찰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45765 
노인범죄의 증가에 따른 경찰의 대응 방안 연구

  • 저자[authors] 장일식,윤경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경찰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경찰연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7-21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노인범죄, 노인, 고령화시대, 치안 정책, 경찰, Elderly crime, seniors, aging age, policing policy, police


초록[abstracts] 
[저출산·고령화로 대변되는 급속한 인구 변동이 향후 국가의 사회와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것이며, 대한민국은 2030년 중위 연령 기준으로 고령화 국가 세계 8위에 오르게 되어 많은 사회적 변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사회복지 문제 야기는 물론 노인들이 범죄의 가해자가 될 가능성도 높아 이제는 경찰의 치안 정책도 노인 계층의 특성에 맞춰 지역별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고령화 사회의 진행으로 인해 예상되는 각종 범죄문제는 황혼 이혼의 증가로 가족과 재산다툼은 물론 흉악범죄의 증가,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각종 보험사기 가담도 증가하고 있으며, 소위 ‘젊은 노인’들이 증가하면서 성매매는 물론 성범죄로 이어지면서 다양한 사회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이웃 일본처럼 수형시설까지도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공식적인 범죄 통계 중에서 노인범죄의 높은 재범률과 특히 성(性)범죄의 증가는 향후 경찰에게 치안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선제적인 대응 전략이 구사되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 경찰의 치안정책은 노인 계층에 맞춤형 전략이 아닌 통합적으로 노인 범죄피해 예방을 위한 홍보와 사후 검거에 그치고 있는 만큼 향후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경찰이 범죄로부터 안전은 물론 협업의 주도적인 기관으로 사회적 약자 보호에 앞장서는 전향적인 패러다임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노인범죄 및 범죄 발생 현황, 국내 노인범죄 사례, 현재 경찰의 노인범죄 및 치안정책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선제적인 치안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rapid population fluctu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low birth and aging, will be a factor influencing the society and economy of the country in the future, and South Korea is expected to have a lot of social change in the world 8 of the aging state by the age of 2030. This social change is likely to cause social welfare problem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criminal harm to the elderly, and now the police policing policy means that a regional-specific strategy needs to b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ayer. Due to the progress of the aging society, various criminal issues that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twilight divorce, the rise of families and property fallout, of course, a heinous crime economic difficulties have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insurance scams, and as the so-called "young seniors" increase in sex trafficking, as well as sexual crimes, and various social problems, and in the long term is expected to lack of water-type facilities like neighboring Japan. Among the actual official crime statistics, the high re-crime rate of senior crimes and the increase in sex crimes in particular, is the point at which a proactive response strategy can be a factor in the future of police policing. However, the policing policy of the current police is not an integrative strategy for senior citizens, but the future of aging, as long as the publicity and post-arrest for prevention of criminal damage in order to be prepared for the Times, the police will need a proactive paradigm to protect the social underdog from crime, safety, and collaboration.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need is to examine the status of elderly crimes and crime, the case of domestic elderly crimes, the current police's elderly crimes and the policing policie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proactive policing policy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aging era.  ]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노인범죄 발생 실태 및 경찰의 치안정책 현황   Ⅳ. 향후 경찰의 대응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88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3387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9
3386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3385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9
3384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3383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9
3382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3381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9
3380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3379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
3378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일본의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과제/치주루가부모토 2014  120
3377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337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의 경제적 가치분석 : 이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 배성훈 2015  120
3375 9 보건의료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송선영 2017  120
337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기반교육의 물리적 환경이 교사의 로봇활용 능력 및 활용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이연승 2014  120
337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 김상희, 이원희 2011  120
3372 15 유전학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이영희 2008  120
337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비급여 의료행위에 대한 의료기관별 가격과 제공량의 관련요인 분석 / 박정훈 2017  120
3370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20
3369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