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학술대회 자료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26431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저자[authors] 윤지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학술대회 자료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1[2017]

  • 발행처[publisher]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0


초록[abstracts] 
[인류의 역사 안에서 ‘여성의 몸’은 다층적이며 논쟁적인 화두를 끊임없이 생산해 내는 지점으로서, 세기를 가로지르는 주요한 담론의 원천이자 실천적 쟁점의 격전지이기도 하다. 윤지선,「장기-몸의 봉기로서의 출산: 들뢰즈와 가따리의 ‘기관없는 신체’ 이후」, 철학연구, 2016, 116. 2016년 9월 23일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의료관계 행정 처분규칙 일부 개정령’을 입법 예고하며 인공 임신중절 시술 의사 가중처벌 방안을 발표하였다. 또한 2016년 12월 29일 행정자치부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출산지도-지역별 가임기 여성인구 지도’가 공개되자 격렬한 논쟁과 논란이 동시다발적으로 촉발되었다. 이는 우리 사회가 가임기 여성의 몸을 정치·경제적, 사회적, 철학적 이데올로기의 효과들이 중첩되고 과잉 기입된 공간으로 다루어 왔음이 드러나는 사건이었다. 2016년 10월 정부의 인공 임신중절 시술 의사 가중처벌 방안에 반대하여 집결한 검은 시위대는 ‘나의 자궁, 나의 것’이라는 도발적 선언의 피켓을 전면으로 내세웠다. 이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신체와 성이 내밀하고도 자유로운, 개인의 영역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권력의 인구정책과 남성 중심적인 성 이데올로기와 친족 구조에 의해 조정·관리되어지고 있는 구조적 현실에 대한 폭로와 비판이다. 인공 임신중절수술에 대한 금지와 끊임없는 논란, 불법화의 이면에는 여성의 순결 이데올로기, 그를 통해 보증되는 부계혈통사회의 존속과 유지, 자유로운 성애 활동의 구속과 억제, 생식기능으로 환원된 여성신체의 고정성 등이 복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필자는 본 논고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의 인공 임신중절수술의 담론의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면서 기존의 프로 라이프 대 프로 초이스로 양분되어지는 논쟁의 구도의 틀을 넘어서서 가부장제 시스템 내에서 ‘여성’-‘태아’이라는 기호가 담론 내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구조주의 인류학과 마르크스주의적 페미니즘의 입장에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또한 푸코의 생명정치와 지식-권력-담론의 개념 프리즘을 통해 대한민국의 인공 임신중절 수술에 대한 정보와 경험, 이를 둘러싼 의학적·일상적 담론의 양상에 대해 면밀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1. 서 론 2.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찬반 논쟁 재고찰 3. 한국 사회의 인공 임신중절 수술 담론 분석- 공포와 과잉담론의 역학을 폭로하다 4.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2 낙태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윤지선 2017  98
1002 14 재생산 기술 인간의 탄생성과 출산행위 / 공병혜 2017  59
1001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
1000 2 생명윤리 임신한 여성의 결정과 자율성 : 생명윤리, 여성의 경험에 귀 기울이라 / 하정옥 2010  66
999 20 죽음과 죽어감 혈액투석 환자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죽음에 대한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송자 2018  235
99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보험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이성남 2018  61
997 20 죽음과 죽어감 도덕적 이슈에 관한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과 정책과정 분석 - 연명의료결정법 제정 사례를 중심으로 - / 하은희 외 2018  99
996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 진료에 관한 연구 / 최윤선 외 1995  46
99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 최윤선 외 1998  800
994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외 증상의 관리: 최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eork) 권고안을 중심으로 / 이혜란 2013  152
993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8
992 20 죽음과 죽어감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신진영 외 2017  163
991 20 죽음과 죽어감 대학생들의 죽음 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 송현동 외 2018  71
990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47
98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988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4
98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7
986 13 인구 일·가족양립을 통한 저출산 대응방안 마련 연구 / 장진희 외 2017  71
985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89
98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이 경험하는 상실에 관한 질적 연구 / 전순초 외 201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