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6254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Necessity for Open Approaches to Abortion: Considerations on the Korean Abortion Policy based on History and Public Health

  • 저자[authors] 최규진(CHOI KYU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1[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낙태죄,인권,보건,낙태율,모자보건법,illegal abortion,human rights,health care,abortion rate,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초록[abstracts] 
[한국은 제한적인 낙태 정책으로 인해 국제사회로부터 여러 차례 지적을 받아왔다. 이는 인권침해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건학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법적 제한은 많은 여성을 기술적으로 부족한 시술자에게 낙태시술을 요구하게 만들거나 비위생적 환경에서 낙태시술을 받도록 해 큰 위험에 노출시킬 뿐이다. 낙태를 법률로 제한한다고 해서 낙태 건수가 줄어드는 것도, 출생률이 극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아니다. 반대로 안전한 낙태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촉진하는 법률과 정책이 갖추어졌을 때 낙태율과 낙태 건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더욱이 한국에서의 폐쇄적인 낙태 정책은 일제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한국의 전통이나 문화와는 거리가 멀다. 현재 여론 역시 낙태죄 폐지에 대해 긍정하고 있다. 이처럼, 역사 및 보건학적 관점에서는 물론, 시대적인 상황, 여론, 인권, 정치, 외교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그 당위성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낙태 관련 정책이 보다 개방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Korea has been pointed out several time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ecause of its backward abortion policy. This is because not only there is a high risk of human right violations, but also it is desirable to abolish the abortion punishment regulations that can hinder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s by women from the perspectives of public health. That is, restricting abortions by law does not reduce in the number of abortions and does not increase the birth rate dramatically as well. On the other hand, laws and policies that promote the accessibility to safe abortion services tend to reduce the number of abortions. Legal restrictions can only expose many women to huge danger by making them undergo an abortion in other countries, ask for an abortion from an unskilled abortionist, and have an abortion at an unsanitary place. In addition, the closed abortion policies are far from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s. Recently, the consensus is for the abolition of illegal abortion. Since the appropriateness of abolition is verified in almost all areas excluding religions, such as the times, public opinions, health care, politics, and diplomacy, the policies on abortion should go in more open directions.]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들어가며  2. 역사적 관점으로 본 한국 낙태 정책의 문제  3. 보건학적 관점으로 본 한국 낙태 정책의 문제  4. 결론을 대신하여: 생명윤리 그리고 법적인 관점에서의 보충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48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10
3547 12 낙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낙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최연수 2017  110
» 12 낙태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최규진 2018  110
3545 14 재생산 기술 한방난임사업에 대한 의학적·통계학적 관점에서의 평가 / 채유미 외 2018  110
3544 4 보건의료 철학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병원의 의사결정 과정 - '합리성에 관한 책무'의 적용 - / 홍지수 2018  110
3543 20 죽음과 죽어감 네덜란드 장기요양제도의 최근 동향 / 연희진 2017  110
3542 15 유전학 유전체 시대의 유전정보 보호와 공유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고찰/이원복 2018  110
3541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위험분담제도가 재정 및 환자접근성에 미친 영향/이종혁, 방준석 2018  110
354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2016  110
353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 전영선, 허창구 2019  110
3538 9 보건의료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과 제공의 공간적 특성 / 양호민 2018  111
3537 9 보건의료 국내 바이오의약품 기업체의 연구사업 수요 조사 및 분석 / 박기대 2011  111
3536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
3535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트렌드에 따른 지역 군집화 방법론 개발 / 이택호 2017  111
3534 9 보건의료 고령사회를 위한 사물인터넷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엄주희 2017  111
3533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1
3532 1 윤리학 산업형 농업 시대의 동물윤리 / 김명식 2014  111
3531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11
3530 19 장기 조직 이식 일본 장기이식법의 특징 / 송영민 2017  111
3529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