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료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241520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저자[authors] 석희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의료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2[2016]
  • 발행처[publisher] 대한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5-17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6
  • 주제어[descriptor] 환자의 모를 권리, 의사의 배려의무, 동의권의 포기, 설명의무의 면제, 불설명의무, 설명의 역기능, 무지법익, 법익교량, Right to Self-Determination, Right of Autonomy, Right to Know, Duty to Report, Right to Consent, Duty to Inform, Informed Consent Dogma, Right Not to Know, Duty to Consideration, medical information

초록[abstracts]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환자의 자기결정권 내지 자율권은, 의사의 보고성 설명의무에 대응하는 알 권리 그리고 의사의 기여적 설명의무에 대응하는 수진 동의권 및 수진 거절권, 양자를 ‘중심’으로 해서 논의되어 왔다. 환자의 자율적 결정의 내용으로서 형성․피력되는, 자기 신체 및 의료 상황에 대해 알고 싶지 않은 희망과 그로 인한 이익에 관한 지위- 도덕적․법적 지위 - 는 환자로부터의 알 권리와 동의권의 포기 또는 (의사가 부담하는) 설명의무의 면제라는 소극적 지위 차원에서 인식되었다. 그리고 설명․동의 원칙 도그마의 적용에 의한 역기능 문제는 설명․동의 원칙의 적용 배제 및 그에 따른 의사의 책임 부인이라는 역시 소극적 접근법에 의해 ‘주로’ 인식되었다. 즉 환자의 그러한 알고 싶지 않다는 ‘무지(無知)의 희망’을 실현시켜 줄 법적 수단이 환자의 ‘모를 권리’ 및 의사의 ‘부작위 배려의무’라는 ‘적극적 지위’로 이해되고 인정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당사자의 적극적 지위 설정이 전제되지 않으면 실제상 및 이론상 문제가 제기된다. 환자가 동의권을 포기한다고 선언하거나 의사의 설명의무를 면제한다고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굳이 환자를 상대로 설명 내지 보고를 행하여 환자에게 큰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의사의 그 행위를 규범적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가 문제인 것이다. 한편 의사가 설명의 역기능을 우려하여 설명을 행하지 않았고, 그 행태에 대해 적절한 것이란 평가가 가능한 경우에, 그 재량적 불설명의 적법성을 인정할 직접적 근거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 또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환자에게 ‘모를 권리’라는 지위를, 의사에게 ‘배려의무’라는 지위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이 권리와 의무 개념은 환자의 자율성 관념의 충실화와 설명역기능 현상의 적정한 방지라는 법규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매우 유용한 도구로서 수용할 수 있다.  

 A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r his/her Right of Autonomy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as being composed of two elements. The first, is the patient's Right to Know as it pertains to the physician's Duty to Report [the Medical Situation] to the patient; the second, is the patient's Right to Consent and Right of Refusal as it pertains to the physician's Duty to Inform [for Patient's Consent]. The legal and ethical positions pertaining to the patient's autonomous decision, particularly those in the interest of the patient's not wanting to know about his/her own body or medical condition, were therefore acknowledged as passively expressed entities borne from the patient's forfeiture of the Right to Know and Right to Consent, and exempting the physician from the Duty to Inform. The potential risk of adverse effects rising as a result of applying the Informed Consent Dogma to situations described above were only passively recognized, seen merely as a preclusion of the Informed Consent Dogma or a denial of liability on part of the physician. In short, the legal measures that guarantee a patient's 'Wish for Ignorance' are not currently being understood and acknowledged under the active positions of the patient's 'Right Not to Know' and the physician's 'Duty to Consideration' (such as the duty not to inform). Practical and theoretical issues arise absent the recognition of these active positions of the involved parties. The question of normative evaluation of cases where a sizable amount of harm has come up on the patient as a result of the physician explaining to or informing the patient of his/her medical condition despite the patient previously waiving the Right to Consent or exempting the physician from the Duty to Inform, is one that is yet to be addressed; that of ascertaining direct evidence/legal basis that can cement legality to situations where the physician foregoes the informing process under consideration that doing so may cause harm to the patient, is another. Therefore it is the position of this paper that the Right [Not to Know] and the Duty [to Consideration] play critical roles both in meeting the legal normative requirements pertaining to the enrichment of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prevention of adverse effects as it pertains to the provision of [unwanted] medical information.]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사례와 문제 제기    1. 비키의 소망(Vickie's Wish)    2. 바비의 유보    3. 전요행의 미련   III. 환자의 '모를 권리'    1. 무지 상태의 법익성과 모를 권리 관념의 필요성    2. 제도적 수용 현황과 비판론    3. 자기결정권 포기 및 설명의무 면제 논리와의 관계    4. 설명의 역기능 논리와의 관계    5. 모를 권리의 침해와 위법성 판단   IV. 의사의 배려의무    1. 배려의무 관념의 필요성과 기능    2. 배려의무의 성질과 위상    3. 배려의무 위반의 위법성 판단과 효과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6
4048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2012  82
4047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2
4046 5 과학 기술 사회 모바일 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 2011  82
4045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2018  82
4044 8 환자 의사 관계 자녀의 의료사고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 주은경 2018  82
404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82
4042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83
404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2013  83
4040 18 인체실험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임상시험과 피험자보호에 관한 연구 / 박민제 2014  83
403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2016  83
4038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2017  83
4037 20 죽음과 죽어감 왕양명 사상의 의료윤리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연명의료를 중심으로 / 박태환 2017  83
4036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미치는 영향 2002  83
4035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최진일 2014  83
403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의료책임인정의 적정성 고찰/이정희 2014  83
4033 9 보건의료 바이오뱅크 내 동의서 없는 폐기용 인체유래물 자원의 재활용을 위한 정당성 모색 / 정창록 외 2017  83
4032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환자의 체험 / 황영희 외 2017  83
4031 1 윤리학 미국사례를 통해 본 의료분쟁의 문화적 해결책 모색 / 김경희 2017  83
4030 23 연구윤리 변화된 연구 환경에 적합한 연구윤리 제도로서연구윤리자문 서비스의 제안 / 이은영 외 2018  83
4029 9 보건의료 인공지능로봇의료의 도덕형이상학적 모색: 의료적 전자인간의 책임가능성 / 정창록 2018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