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60636 
임상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Ethical Sensitivity Scale for Clinical Nurses

  • 저자[authors] 정민영
  • 발행사항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v, 161 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서지민<br>부록: 1. 심층면담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2. 심층면담 내용분석 결과, 3. 문헌고찰과 면담을 통해 도출된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 구성요소 외 수록<br>참고문헌: 장 94-10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7. 2
  • DDC[DDC] 610.73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부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 간호사,윤리적 민감성,윤리적 간호행위
  • 소장기관[Holding]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16)

초록[abstracts] 
Purpose : Ethical sensitivity is the essential competency for nurses to practice ethical nursing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thical sensitivity scale for clinical nurses.      Method :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hat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d the ethical sensitivity scale.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55 preliminary items was generated by literature review, existing scale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wo rounds of content validity, 40 items were derived. The sacle validation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344 general hospital nurses recruited from four general hospital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Result : For construct validity, we used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total points and factor. In accordance with classical testing theory, item analysis was conducted. A total of 3 items were deleted through the item analysis.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37 items, 8 factors with 36 items were retrieved for 61.30% of the total variance. The factors identified were labeled patient respect, professional ethics, nursing practice responsibilities, empathy, perception of ethical situation, ethical burden, ethical contemplation, and willingness to do good.     In order to verify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a Multitrait/Multi-item Matrix analysis was performed, and all the item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ir subregions and a low correlation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non-relevant regions. The result of correlation with Korean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 (Han et al., 2010) for criterion validity show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52(p<.001),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result of the group compariso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and working department. The reliability was tested by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α (.92), a split-half reliability test (.94) and a test-retest (.89) to evaluate the homogeneity and stability of the scale. The last revised theoretical model consisted of the final 34 items showed all goodness-of-fit parameters (χ2/df=1.80, GFI=.86, RMSEA=.05, NFI=.81, NNFI=.90, CFI=.91) after three rou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36 items resulting from EFA.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for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34 item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92.     Conclusion : The scale that developed to measure clinical nurses' ethical sensitivity in this study was proved to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is scale is able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strategies to improve nurses' ethical sensitivity in nursing settings and the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nursing competency related to ethical sensitivity in nursing colleg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628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19
3627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2018  418
3626 1 윤리학 동물실험 교육과정에서 윤리교육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유동미 외 2014  418
3625 2 생명윤리 동물보호를 위한 윤리적 근거와 방안 / 김대군 2000  418
3624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2014  418
3623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36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18
3621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 김명식 2010  418
362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2013  418
3619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7
3618 18 인체실험 미국에서의 특허적격(Patent Eligibility) 판단에 대한 연구 -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이창화 2014  417
361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2015  417
3616 10 성/젠더 생명의료윤리 관점에서 소아기호증 상습성폭력범에 대한 성충동 약물치료의 정당성 논의 :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주요 쟁점 / 차승현 2010  417
3615 18 인체실험 국내 한방병원의 IRB 및 임상시험 실태조사 / 정희정, 박지은, 최선미 2010  417
3614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인의 고유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연구/ 배용준 2018  416
3613 8 환자 의사 관계 배려윤리에 근거한 환자-의사관계의 윤리 / 유수정 2009  416
3612 4 보건의료 철학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민감한 간호' 경험 / 권신영 2019  415
3611 22 동물복지 EU에서 동물복지와 실험동물 보호에 관한 연구 : EU화장품동물실험금지규정을 중심으로/이형석, 김정기 2018  415
3610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2014  415
3609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