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1904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 조치 현안 및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urrent issues and future tasks for de-identification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Focusing on healthcare field

  • 저자[authors] 김순석(SoonSeok Kim),황호성(Hosung Whang),윤상진(Sangjin Yun),권오승(Ohseoung Kwon),인한진(Hanjin In),김범식(Bumsik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5[2018]
  • 발행처[publisher]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99-60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00
  • 주제어[descriptor] 보건의료,비식별,개인정보,프라이버시,가이드라인

초록[abstracts] 
[개인의료정보는 타 산업분야에 비해 환자의 질병, 예를 들어 혼전 임신기록이나 AIDS 감염사실, 특히 고수준의 프라이버시를 요구하는 정치인, 유명인의 진료기록 정보 등 민감정보들을 다루고 있다. 의료분야에 있어 비식별 조치는 보다 엄격해야하며 향후 데이터 개방 및 서비스, 활용에 있어서도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수준의 보안 조치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2016년 6월 정부에서는 관계부처합동으로 개인정보에 관한 비식별조치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의료분야를 포함한 보험사, 기업, 금융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비식별 조치 내용을 범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번 비식별조치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개인정보보호관점에서 비식별 조치에 관한 국내외 동향, 타 산업분야의 활용사례, ISO 27799에서의 관리적 정책적 개인정보보호 통제 항목과 구현가이드, 그리고 특히 의료분야의 비식별 조치에 있어서의 현안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과 제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Personal health information deals with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patient records, information on medical records of politicians and celebrities who require high level of privacy, especially for prenatal pregnancy records or AIDS infections,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the medical field, de-identification method should be more stringent, and security scheme must be preceded by a level of security that can be assured by the public in future data opening, services, and utilization. In June 2016, the korea government announced a de-identification guideline on personal information jointly with related ministries. The guideline generally includes de-identification measure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nsurance and financial companies, including the medical sector. In this paper, we study on de-identification measures from the viewpoint of privacy protection, use cases in other industries, administrative and polic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trol items and implementation guide in ISO 27799, and proposes pending issues and future tasks to be applied in the medical field.]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관련연구 3. 의료분야 비식별 조치 현안 및 향후 과제 4.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88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1
48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48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48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 양인국 2017  71
484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의 결함과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2016  71
483 2 생명윤리 배아 헌법소원 판결문의 부당함에 대한 논증 / 윤성혜 2017  71
482 18 인체실험 신약 임상시험의 과정 및 관련지침 / 신상구 1994  71
48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Nkx2.5+ 심장전구세포의 isoflurane에 의한 전처치 효과에서의 protein kinase C-ε의 역할 / 송인애 2016  71
480 1 윤리학 Toward an Anthropology of Ethics: Foucault and the Pedagogies of Autopoiesis 2001  71
479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제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 이송호, 정일환 2018  70
478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70
477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샌드박스에 관한 연구 / 김배현, 권영일 2018  70
476 9 보건의료 일본 정밀의료 관련 법제의 현황과 함의 / 이기호, 김계현 2018  70
475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70
474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 다다 뉴맨에서 동시대의 혼성신체까지 / 최정은 2015  70
47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70
4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471 9 보건의료 정밀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서비스의 혁신 패러다임 / 김종원 2017  70
470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
469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관리법안의 검토와 문제점 / 송영민 2008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