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韓京大學校 生物·情報通信專門大學院 : 植物生命工學專攻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476783 
국내외 유전자변형 식물개발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in Korea and abroad

  • 저자[authors] 이종우
  • 발행사항 안성 : 韓京大學校 生物·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6
  • 형태사항[Description] 50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Note] 참고문헌: p. 46-4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韓京大學校 生物·情報通信專門大學院 : 植物生命工學專攻 2006. 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23.2 4
  • DDC[DDC] 631.5 21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06
  • 주제어 유전자,유전자변형,식물개발
  • 소장기관[Holding] 한국교육학술정보원(논문2)

초록[abstracts] 
전 세계 인구는 2025년에는 80억~85억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증가하는 인구에 식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세계 식량생산량이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제한된 자원 조건하에서 식량 문제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 유전자변형 기술을 제시되었다.  이미 선진국들은 유전자변형 기술 발전의 기초가 되는 유용 유전자 발굴 연구 등 작물 유전체 연구에 대규모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한국 또한 유전자변형 기술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전자변형 식물체 개발에 관하여 연구실 수준의 사례는 다수가 보고되고 있으나 실용화 단계를 거쳐 품종으로 등록된 경우는 아직 한 건도 없다.  단지 최근 국제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도 식물유전체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연구 결과를 육종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연구개발 동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안전성 평가방법과 기준에 대한 농촌진흥청과 농림부의 지침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외국의 GMO 표시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전자변형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반여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유용 유전자 자원의 DB 구축 및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유전자변형 작물 산업에 있어 작물의 특성을 결정하는 유용 유전자 자원의 확보 여부는 산업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 인자이므로 기존의 유전자원 관리 및 활용 업무에 IT 기술을 도입하여 업무수행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이러한 유전자 자원 정보의 DB를 통해 국가 차원의 중요 지식 정보를 축적하고 연구자간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며, 종국적으로는 국가 유전자원의 효과적 관리 및 활용을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전자변형 작물의 안전성 관리체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체계 구축과 동시에 신뢰성 있는 평가를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이 반영되어야 하며, 안전성 평가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평가와 관련된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유전자변형 작물의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철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확립해야 하지만, 유전자변형 작물의 연구개발을 저해하지 않도록 규제와 안전관리를 조화시켜야 한다.  셋째,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산물의 수집 및 유통 단계에서의 유전자변형 작물과 기존 작물의 분리가 가능해야 하며, 가공단계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의 사용 여부를 검사, 표시할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다. 유전자변형 작물의 R&D 개발에 적극적인 재정적인 지원이 되어야 하며, 전문적인 plant biotechology 업체를 육성해야 한다. 또한, 유전자변형 작물의 상품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하고,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한 사회정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초록[abstrac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in home and abroad and the obtain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has been improved in order to feed and free from hunger a growing world population, This will require a proper and responsible utilization of scientific discoveries and new technologies. GMO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plants and should make sure that their efforts address such needs.  Foods can be produced through the use of GMO technology that are more nutritious, stable in storage, and in principle health promoting--bringing benefits to consumers in both industrialized and developing nations.  New public sector efforts are required for creating transgenic crops that benefit poor farmers in developing nations and improve their access to food through employment-intensive production of staples such as rice, wheat, and potatoes. Cooperative effort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re needed to develop new transgenic crops that benefit consumers, especially in the developing world.  A number of examples of developed transgenic plants have been reported at level of laboratory in Korea. Nevertheless, we have no any commercial cultivar of transgenic plant that was registrated thorough practical steps.  Concerted, organized efforts must b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nvironmental effects--both positive and negative--of GM technologies in their specific applications. These must be assessed against the background of effects from conventional agricultural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in use.  Public health regulatory systems need to be put in place in every country to identify and monitor any potential adverse human health effects of transgenic plants, as for any other new variety.  Private corpora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should make arrangements to share GMO technology, now held under strict patents and licensing agreements, with responsible scientists for use for hunger alleviation and to enhance food security in developing countries. In addition, special exemptions should be given to the world's poor farmers to protect them from inappropriate restrictions in propagating their crops.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 ⅰ
목차 = ⅲ
표목차 = ⅴ
그림목차 = ⅵ
Ⅰ. 서언 = 1
Ⅱ. 유전자변형 생명체의 정의 및 현황 = 3
 1. 유전자변형 생명체 (GMO)의 정의 = 3
 2. 유전자변형 기술의 적용범위 = 6
 3. 유전자변형 기술과 일반 품종개량 기술과의 차이 = 10
 4. 개발목적에 따른 GMO의 세대 구분 = 10
 5. GMO의 장단점 = 13
Ⅲ.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정의 및 개발 = 15
 1. 유전자변형 식물체 (GM Plants)의 정의 = 15
 2.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목적 = 15
 3.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개발배경 = 16
 4.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개발방법 = 17
 5.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개발현황 = 18
Ⅳ. 유전자변형 식물체의 평가방법 및 기준 = 21
 1. 유전자재조합 식물체의 안전성 평가 = 21
 2.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 23
Ⅴ.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표시제 = 28
 1. 도입배경 = 28
 2. 국내·외 GMO의 표시제 현황 = 29
 3. 국내 GMO의 표시제의 문제점 = 35
 4. 국내 유전자변형 GMO의 개선방안 = 39
Ⅵ. 유전자변형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반여건 = 41
 1. 유용 유전자 자원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구축 및 활용 = 41
 2. 유전자변형 작물의 안전성 관리체계 구축 = 43
 3.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인프라 구축 = 44
 4.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45
참고문헌 = 46
요약 = 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4
220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관한 동의의 문제/이재경 2017  199
2207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20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의 최근 동향 : 성선자극 호르몬을 이용한 과배란 방법과 생식세포 복강내 이식의 국내 최초 시도에 관한 연구 / 이상훈 1991  199
2205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2204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9
2203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나고야 의정서의 주요 과제에 대한 법적 분석/박노형, 정명현, 이선 2015  199
22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기반 자동행정과 법치주의 / 김도승 2019  198
2201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8
2200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소비자광고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혜경 2011  198
2199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198 14 재생산 기술 정자 DNA 분절이 체외수정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최화영 2017  198
2197 1 윤리학 정치인의 이미지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박선영 2016  198
2196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7
2195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2019  197
2194 9 보건의료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주 외 2018  197
2193 9 보건의료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 백영경 2018  197
2192 9 보건의료 임상시험에서의 통계 활용 / 안흥엽 2010  197
2191 1 윤리학 남녀고용평등법상 성차별 구제에 관한 최근 미국 판례의 시사점 / 이명화 2017  197
219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제56조의 태도 / 정문성 2016  197
218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행위의 중단에 관한 윤리적 고찰(서울서부지방법원 민사 제12부의 2008년 11월 28일 판결을 중심으로)/이동익 2009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