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국가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73604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Comparative Legal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the Death with Dignity

  • 저자[authors] 김태일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국가법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2[2012]
  • 발행처[publisher] 한국국가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1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생명권,존엄사,자기결정권,말기환자판단기준,말기환자의사표시,Right to Life,Death with Dignity,Right of Self-Determination,National Bioethics Committee,Terminal Patient's Standard of Judgment,Terminal Patient's Expression

초록[abstracts] 
[우리나라에 떠들썩한 이슈로 부각되었던 '김할머니'사건은 존엄사에 대하여 대한민국 최초로 인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대법원의 국내 첫 존엄사 인정 판결 이후 관련 사회협의체 구성 및 활동과 신상진 의원의 법안 발의로 활발히 논의된 존엄사는 종교계, 의료계, 관련 법제 등의 이유로 이견을 좁히지 못하여 결론을 도출해 내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다시금 존엄사에 대하여 논의를 재계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존엄사에 대한 논의와 관심이 정부와 국민 사회 전반에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금 존엄사를 인정하고 있는 각국의 입법례와 우리나라에서 서로 대립하여 논의 되었던 바를 살펴보고 그 허용성과 타당성에 대하여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법제 마련을 위하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 제반 사항의 검토와 가족에 대한 권고, 결정을 담당하게 하고 위원회를 통해 치료중단의 과정을 절차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된다면, 치료중단의 기준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를 이루어나갈 수 있을 것이며, 불분명한 기준 아래 개별 의사와 가족 간의 합의로 이루어지는 지금까지의 관행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원회는 치료중단 결정에 관여한 가족과 의료진의 윤리적 부담과 법률적 불안정성을 해소시켜줄 수도 있을 것이다. '회복불능상태의 환자' 또는 '말기상태의 환자'의 판단여부의 결정은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의학적 판단의 기준이 되는 명확한 절차를 포함하면서 최소한 2인 이상의 의사가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의식불능의 환자에게는 자유로운 의사를 표명할 기회가 없으므로 특정한 타인에게 의사를 대행하게 하고 그 자의 의사결정을 생명주체의 의사결정으로 대신하는 방법인 대리인의 동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대리인의 생명에 대한 결정이 환자 자신의 결정권과 동일한 가치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하여 법적 논란이 제기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리인의 동의의 경우에 그 동의에 대한 법적 근거의 마련이 필수적인 것이다.

May 21, 2009. The 'Case of grandma Kim' that was highlighted as an issue in Korea. It led to the result that recognized initially in Korea about death with dignity. Since the initial sentence that recognized the death with dignity by the Supreme Court, It was actively discussed by configure the related social council and activities or Taking the initiative by Shin sang jin. But it couldn't draw a conclusion by religious community, the medical profession and related legal system etc. However, recently, the try are showing again. Nowadays discussions and interests about death with dignity are increasing gradually to government and whole of society. Therefore, examine the each countries opposing discussion. And should be sought reasonable solutions for its admissibility and validity. And to prepare the related legislation, review all the matters to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and in charge of the advice and decision about family. And if they can control the process of treatment interruption through the Commission. Then, it will be able to achieve the social consensus about the basis of treatment's discontinuation and will be able to escape from present practice that made by agreement between the family and the individual physician under the unclear standard. The decision of the judgment between 'unrecoverable patients' and 'terminal patients' is the decision of the judgment between 'unrecoverable patients' and 'terminal patients' is including the clear procedures that be the basis of judgment for medical standards of judgment. Also, may be considered the ways that particip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doctors. The unrecoverable patients, they do not have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free opinions. So, substitute for specific others and need to consider the agent's consent. In this case, the legal controversy arises which is the agent's decision about life and the patients' own decision are sam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preparation of the legal basis is essential about agree on the consent of agent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존엄사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의의  Ⅲ. 외국의 존엄사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입법례  Ⅳ. 우리나라에서의 존엄사에 대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28 20 죽음과 죽어감 현행법상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과제 / 주호노 2018  129
1427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9
1426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1424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1423 5 과학 기술 사회 가습기 살균제 연구의 교훈과 의생명과학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김승훈 2018  129
1422 1 윤리학 피터 싱어 윤리 체계의 일관성 2012  129
1421 18 인체실험 웨스턴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특성 / 신희영 2007  129
1420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1419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8
1418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8
1417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8
1416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8
1415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1414 5 과학 기술 사회 AI Net :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네트워크 / 박남석, 이양옥, 전길남 1985  128
1413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1412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8
1411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7
1410 9 보건의료 정밀의료의 출현에 대한 규제의 시선 - 미국의 ‘정밀의료 발전계획’을 단초로 -/윤혜선 2018  127
1409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