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01455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 Study of Cyber-Feminism & Eco-Feminism

  • 저자[authors] 김영숙(Yeoung-Sook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8No.9[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9-8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사이버 페미니즘,에코 페미니즘,사이보그,젠더,Cyber Feminism,Eco Feminism,Cyborg,Gender

초록[abstracts]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버 페미니즘과 김선희의 에코 페미니즘은 현대 과학기술을 서로 상이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 사이버 페미니즘이 현대 과학기술의 성과를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 그 해방적 측면을 환영한다면, 에코 페미니즘은 현대 과학기술 속에 있는 전체주의적 시각과 인간부정의 측면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다. 사이버 페미니즘은 사이보그라는 개념을 통해 생물학적 한계와 가부장제적 질곡에 얽매인 여성이 아닌, 새로운 미래의 여성을 그림으로써 모더니즘적 인간관에서 벗어나는 해방적 성과를 보여주지만, 과학기술과 생명과학을 실질적으로 소유하는 소수의 지배권력에 의한 위험성을 간과함으로써 안이한 측면을 노정시키고 있다. 이에 반해 에코 페미니즘은 현대 과학기술이 소수의 지배권력에 의해 독점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주목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육체성과 여성성을 통해 현대과학기술 시대의 전체주의적 사고를 극복해낼 수 있다고 봄으로써 과학기술의 성과를 페미니즘이 담아내지 못하고 모더니즘적 이원론적 인간관에 머무르고 있다.

D. J. Haraway"s cyber-feminism and Kim Seon Hee"s eco-feminism are so differ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While cyber-feminism thinks the outcome of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positively, eco-feminism criticizes the totalitarianism and the human negation which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gives rise to. Cyber-feminism gives us an image of the future female, but exposes an easygoing way of thinking of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co-feminism takes notice of the risk, that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can be abused by the power of the minority, but fails in overcoming of the traditional view of femal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사이버 페미니즘의 내적 논리와 에코페미니즘의 내적 논리  Ⅲ. 두 페미니즘을 가르는 쟁점들  Ⅳ. 사이버 페미니즘과 에코 페미니즘의 문제점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28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9
2727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2726 23 연구윤리 우리나라 의학논문출판윤리에서 이해상충의 관리에 관한 고찰/박진선, 최병인 2015  170
2725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2724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규정의 비교법적 분석 / 류일현, 안영하, 오정균, 우제창, 추정완 2016  170
2723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70
2722 15 유전학 유전자 검색을 위한 DNA 칩 제작용 microarrayer의 개발 / 이현동 2003  170
27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및 딥러닝 국방감시체계 적용방안 검토 / 안정철, 권혁진 2016  170
2720 2 생명윤리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맹광호 1993  170
2719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70
2718 5 과학 기술 사회 남자대학생의 젠더의식이 성희롱 인식과 성희롱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8  170
2717 1 윤리학 이민 정책에서의 인권에 관한 연구: 이민 제한과 DACA를 중심으로 / 이현주 2018  170
2716 9 보건의료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정우진 외 2016  170
2715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2017  170
271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기술의 발전과 법적 대응방향 /박종보, 김휘홍 2017  170
2713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에서의 논증 이해와 그 적용/김진형 2010  171
2712 2 생명윤리 생명-중심적 상담에 대한 고찰(考察)/김태수 2016  171
2711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2710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 현황 / 조명수 외 2014  171
2709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 시술시 미세조작에 의한 임신율의 증진에 관한 연구 / 노환철 1993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