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정보보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0696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ponse of Anti-Forensics Crime Methods in Medical Accident

  • 저자[authors] 엄민수
  • 발행사항 서울: 동국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 57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Note]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이재우<br>서지적 각주 및 참고문헌(p. 55)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정보보호학과 2018. 2
  • DDC[DDC] 363.25968 2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의료 사고,디지털 포렌식,안티 포렌식
  • 소장기관[Holding]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20)

초록[abstracts]
Internet usage records Electronic records are available in medical facilities and electronic tables are currently available. Compared to paper charts, electronic charts are an advantage in terms of convenience and time savings in finding medical records. Of course, it is not merely an advantage, and when changing from a paper chart to an electronic chart, electronic charts can become important evidence to reveal the cause of a medical accident. In the event of a medical accident,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dispute,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the cause. Forensic is a procedur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ving the facts of a specific act occurring as a mediator of digital devices. To collect, analyze and report data to submit electronic evidence to the judicial authority. As digital forensic technology evolves and the legal validity of digital evidence becomes more important, anti forensics is also evolving. Anti-forensics is a series of actions that damage or block functional evidence that will work against you in response to digital forensic techniques. Recently, anti-forensic expert tools have been introduced to automate anti-forensics. Anti-forensic techniques are evolving to conceal or corrupt evidence. Typical techniques include concealment and deletion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e system, steganography, concealment of information using metadata, and physical destruction of information. Medical advances have received many health benefits in our lives. However, medical incidents are also seen in cross section. It is important to find evidence when a medical accident occurs, and as the Internet develops, it is changing from an existing paper chart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designated by the Medical Law and medical record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medical acciden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forensics, anti-forensic methodology using forensics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in medical disputes. We may find it difficult to find evidence when we hid, tampered or altered our electronic medical records with anti forens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using digital forensics to eliminate the cause of medical accidents and a method to prevent and protect evidence of medical records in case of medical accidents by using anti – forensics. When a medical dispute occurs due to a medical acciden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medical accident by changing, encrypting and hid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If a medical accident occurs, we will use digital forensics to learn about steganography and present a corresponding methodolog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대한 명상과 수면 수행 / 이강옥

발행년 2014 

  • 조회 수 131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5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박시내

발행년 2011 

  • 조회 수 24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교육의 현황과 과제 / 이이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571

20 죽음과 죽어감 흥행영화와 죽음 : 2000년대 전반기 한국 흥행영화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작용 / 서곡숙

발행년 2009 

  • 조회 수 13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발행년 2013 

  • 조회 수 8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 심보혜

발행년 2018 

  • 조회 수 2462

9 보건의료 의료사고의 안티 포렌식 범죄 기법의 대응에 관한 연구 / 엄민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418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진료 지연 판례에 대한 윤리적 고찰 / 박송이

발행년 2018 

  • 조회 수 222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9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 계봉오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332

14 재생산 기술 대리출산 자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 / 권재문

발행년 2010 

  • 조회 수 113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발행년 2018 

  • 조회 수 759

1 윤리학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 장영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24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 장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294

12 낙태 여성 인권으로서의 임신중단권 / 김채윤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7

12 낙태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김광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9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