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27945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저자[authors] 신재명,조기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No.2[2018]
  • 발행처[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3-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환자안전, 환자안전법, 의료오류, 자율보고, 의무보고, 보고시스템, patient safety, patient safety law, medical errors, autonomous reporting, reporting system

초록[abstracts]
[2015년 1월 28일 제정되었던 환자안전법이 2016년 7월 26부터 시행되고 있다. 환자안전법은 환자안전문제에 있어 사후적인 민·형사상 책임추궁에 초점을 두고 있던 과거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사전적으로 의료오류(medical error)의 예방을 위해 보고시스템을 통하여 각종 오류를 수집·집적한 후 얻어진 결과물을 진료에 반영함으로써 위해 를 예방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법의 유효성을 위해서는 환자안전사고의 예방·보고·재발 방지 등을 위한 환자안전관리체계구축의 핵심적인 전제인 ‘환자안전사고의 자율보고 및 보고·학습시스템’의 활성화가 관건이다. 그리고 이 시스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많은 양의 보고자료축적이 필수적인 전제요건이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약 17개월 동안 단 2건에 불과한 보고가 있었을 뿐이다. 외국의 선례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부분 적으로 의무보고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현행 자율보고시스템의 타당성과 발의되어 있는 두 개정안을 비판해보고, 부분적 의무보고시스템의 도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Patient Safety Act was enacted on July 26, 2016. Patient safety law is a method to prevent harm by collecting and accumulating various errors through the reporting system. Therefore, in order for this law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the autonomous reporting and reporting · learning system of patient safety accidents’. And In order for this system to be activated, a large amount of reporting data accumulation is a prerequisite. Nevertheless, there were only two reports in about 17 months. In this paper, I will criticize the validity of the current autonomous reporting system and the two proposed amendment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introduction of a partial obligation reporting system.]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환자안전법제정의 배경    2. 논의의 핵심: 환자안전사고의 보고시스템의 활성화 방안   Ⅱ. 본론    1. 환자안전의 의미와 보고시스템의 유형    2.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보고 · 학습시스템의 구조    3. 자율보고시스템의 타당성여부와 의무보고시스템의 도입   Ⅲ.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발행년 2007 

  • 조회 수 63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발행년 2004 

  • 조회 수 63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발행년 2000 

  • 조회 수 63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장기기증자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황지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5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발행년 2006 

  • 조회 수 634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포기(DNR)에 대한 간호장교들의 인식 및 경험조사 / 주명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불임 환자의 생활 습관 및 임신율 / 박승근

발행년 2009 

  • 조회 수 6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상 유형의 윤리적 문제 / 백수진

발행년 2008 

  • 조회 수 633

1 윤리학 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 연구 / 김정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2

1 윤리학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김유림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1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생애 말기 돌봄에 있어서 사회복지 개입의 필요성 탐색/류지선, 백정원, 김숙남

발행년 2015 

  • 조회 수 631

20 죽음과 죽어감 고독사에 관한 법과 윤리적 쟁점 / 권혁남

발행년 2013 

  • 조회 수 630

5 과학 기술 사회 최첨단 생명과학기술의 위험과 규범 / 고봉진

발행년 2009 

  • 조회 수 63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 손승우

발행년 2017 

  • 조회 수 629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발행년 2003 

  • 조회 수 62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발행년 2014 

  • 조회 수 629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발행년 2013 

  • 조회 수 628

12 낙태 멕시코의 폐미니스트운동과 낙태정책 : 2007년 멕세코시티 낙태합법화의 의미 / 강경희

발행년 2009 

  • 조회 수 628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발행년 2007 

  • 조회 수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