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행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25879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A Review on the Change of Health Policy Based on Ethical Issues

  • 저자[authors] 이동현 ( Dong Hyun Lee ), 김소윤 ( So Yoon Kim ), 손명세 ( Myongsei Soh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행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22-2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Health policy, Bioethics, End of lif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nursing

초록[abstracts]
[Health policy is a historical product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clu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state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country. Bioethics began to debate the ethical questions that arise in the overall process of life’s birth and death, and gradually evolved by presenting ethical directions for various social phenomen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moral awakening of ‘scientific medicine’ which caused in some human problems in the rapidized scientific societ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of distress including the concept of various social relations,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has reached the bioethics. Although health policy and bioethics are different in terms of starting and concept, they can be found in common with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iversity in the times. In 2004, ‘Bioethics Law’ was enacted through the issue of research ethics in the life sciences.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ethical aspects of current health policy direction and major issues, it can be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enactment of ‘Bioethics Law’ in 2004. The authors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evolution of the ethical viewpoint on the health policy has changed in line with the enactment of the ‘Bioethics Law’ and how it is trying to solve it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Through the various events that took place in the 1990s and the 2000s, various discussions on bioethics were conducted in Korea. Prior to the enactment of the ‘Bioethics Law,’ ethical judgments of professions, distribution of healthcare resources, if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ethical judgment of abortion, and the various events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00s became the beginning to inform that the ethical debate about the life, death, and dignity of human beings began in earnest in Korea with the enactment of the ‘Bioethics Law.’ Since the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Law’ which was enacted in 2017,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ealth policy of our country focuses on the treatment of the past diseases, health promotion, and delivery of health care services. It was an opportunity to let them know that even the quality problems were included. Therefore, considering the various circumstances, the ethical issue facing Korea’s health care system in the future is the change of the demographic structure due to aging and what is to be considered as the beginning and the process of life in the overall process of life. It is the worry about how to die and when it sees as death. This has far exceeded the paradigm of traditional health care policies such as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and calls for innovative policy response at the national level that reflects the new paradigm, which in many cases creates a predictable ethical environment. And health policy should be shifted in the direction of future ethical review considering sustainabil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future health care rather than coercive manage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65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발행년 2000 

  • 조회 수 65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 신은하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0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649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648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발행년 2016 

  • 조회 수 648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발행년 2000 

  • 조회 수 646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645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발행년 2012 

  • 조회 수 644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644

2 생명윤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김현섭

발행년 2017 

  • 조회 수 641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발행년 2012 

  • 조회 수 64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장한철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9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발행년 2012 

  • 조회 수 639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8

22 동물복지 유전자변형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의 동향/김훈기

발행년 2016 

  • 조회 수 638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발행년 2018 

  • 조회 수 637

1 윤리학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와 도덕적 존중의 의미 - 피터 싱어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김광연

발행년 2018 

  • 조회 수 637

10 성/젠더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 강예원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6

20 죽음과 죽어감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 박혜순

발행년 2018 

  • 조회 수 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