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14663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Human Being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ed on the Debates between Kant’s Anthropology and Modern Neuroscience -


  • 저자[authors] 김영례(Kim, Young-Ry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論叢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1No.-[2018]
  • 발행처[publisher]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2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칸트의 인간학,신경과학,인공지능,마음,도덕성,Kant’s anthropology,neuroscience,artificial intelligence,mind,morality



초록[abstracts]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우리는 대변혁의 시기에 서 있다. 생명공학, 신경과학의 발달은 인간의 정신이나 신체를 조작의 대상으로 삼아서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예고한다. 신경망 인공지능의 발달은 제4차 산업혁명을 야기하여 우리를 쓸모없는 인간집단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과학이 추진하는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논자는 인간의 본질을 통해 이 문제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성은 역사과정의 모든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판단을 지탱해준 근간이었다. 인간의 의식은 여전히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신비한 블랙박스며, 신체의 조작과 개선을 통해 우리의 본질을 잃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칸트의 인간학을 토대로 인간이 무엇인가를 성찰하였다. 칸트의 인간학에 대한 신뢰성은 뇌 과학의 정보를 통해 뒷받침하였다. 칸트는 마음과 도덕성 그리고 공감의 감정에 의해 우리가 존엄한 인격적 존재로서 사회적 삶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이 한낱 사물이 아니라 존엄한 존재인 것은 그가 사적 이익이 아니라 옮음을 근거로 행위 하는 도덕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공리주의적 손익계산이 아니라 옮음의 기준으로 우리의 미래를 선택해야 할 때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결코 인간 삶의 가치에 대한 어떤 비전에 의해 추동되지 않는다. 과학기술이 인류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호모 사피엔스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live in the period of great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neuroscience signals the post-human era as an object of manipulation of human mind or body. The development of neural network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y cau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make us useless. Is the science future of utopia or dystopia? I think that the human nature gives us a clue to solve this problem. Humanity used to be the basis for maintenance of judgment of our identity, despite all the changes in the historical process. The human mind is still a mysterious black box that does not reveal itself, and we should not lose our essence through manipulation and improvement of the body. Kant’s anthropology was used to reflect on our identity. The reliability of Kant’s anthropology was supported by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Kant says that by the emotions of heart, morality, and sympathy, we can maintain social life as a dignified personal being. Man is not a thing but a dignified being because he is a moral being who acts on the basis of rightness rather than private interest. Now is the time to choose our future as the basis of rightness rather than utilitarian profit and loss calculation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never driven by the value of human life. The wisdom of Homo sapiens should be used for Scientific technology to advance for the real development of mankind.]



목차[Table of content] 

[한글 요약]  Ⅰ. 머리말  Ⅱ. 인공지능 시대와 문제점  Ⅲ. 인간의 마음  Ⅳ. 인간의 자율성과 존엄성  Ⅴ. 인간의 감정과 공감능력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48 15 유전학 의과학기술에서 본 생명과 행복 - 최근 발달된 크리스퍼기술을 중심으로 / 남명진 2018  131
1447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요인 / 배진현 2018  131
1446 17 신경과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지은 외 2017  131
144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1
1444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1
1443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
1442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1441 8 환자 의사 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SBR)의 연구자-연구대상자 관계에서 도덕 판단 원리로서 ‘공감’의 의의 / 김진경 외 2016  130
1440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의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김연숙 2000  130
1439 14 재생산 기술 IVF로 세쌍둥이를 임신한 여성의 임신오조 치험1례 / 김정아 외 2015  130
1438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
1437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143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1435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9
1434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143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박상철 2018  129
1432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9
1431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1430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해석을 통한 자기결정권의 재고 : 존엄사를 중심으로 / 김태일 2012  129
1429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