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33380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저자[authors] 김은정,홍석원,김영은,노현오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연구보고서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0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descriptor] 보건의료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SNS 분석,빅데이터 분석

초록[abstracts] 

[□ 서론

: 보건의료 안전분야의 신뢰할만한 선택정보가 부족하고 안전관리체계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무차별적인 정보노출로 국민안전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안전문제 발생으로 개인적 혹은 사회적 비용 지출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인 정보탐색을 통한 조기경보체계 마련과 유관기관 간 관련 정보의 유기적 연계에 의한 정책 협력이 가능하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 연구방법

: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활용을 위한 시범주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 이하 SNS) 분석을 활용하여 사회적 관심도가 높은 안전이슈를 선정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안전문제에 대해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안전문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가능한 지표를 파악하였다. 또한 전문가 자문을 더하여 안전문제에 대한 분석문건을 작성하였다. 

SNS 분석은 주요 인터넷 포탈의 언론뉴스와 블로그, 커뮤니티, SNS, 보건 및 의료관련 5새 주요 인터넷신문을 수집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안전이슈 선정을 위해 2012.7.1. 부터 2013.6.30.까지 1년간 `의료 부작용`, `병원 부작용`, `의료사고`가 포함된 문장을 수집한 후 문장 내 단어분석을 통하여 상위 빈도어를 추출하였다. 이중 부작용과 관련한 문제가 큰 핵심단어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각 핵심단어별로 광고 및 스팸성 게시물은 제외하였다.

다음으로, 각 핵심단어별 연관용어를 얻기 위하여 정제된 원문을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명사, 형용사, 동사 단위로 추출하여, 추출된 연관용어를 빈도에 따라 재정리 하였다.

마지막으로, 게시물의 긍·부정을 통해 일반대중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감성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집된 원문을 문장으로 분리하여 형태소 분석을 시행하였고, 분석된 형태소와 감성사전, 주체사전을 비교하였다. 감성주체 비교 후 문장 내 감성주체, 감성용어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 긍정(+)과 부정(-)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 연구결과

Ⅰ. 보건의료 안전 이슈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모델 제안

본 연구를 통해 1) 현황분석 및 예측, 2) 장단기적 문제점 인식 및 보고, 3) Pre-research 수행, 4) 연구 수행 및 이슈페이퍼 발행의 단계를 거치는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 모델을 제안하였다. 현재까지 환자안전과 관련한 보건의료 안전 분야의 종합적인 관리대책이 미흡하고, 환자안전에 대한 조사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건의료 안전 분야의 문제점이나 활동의 규모 및 심각성에 대한 파악이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현재 활용한 가능한 자원을 통하여 극복하고자 SNS 분석을 통한 사회적 관심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문제의 임상적 지표나 기수행되었던 연구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내용을 종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문건 형태로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까지 포함하는 모델을 고안하였다.

Ⅱ. SNS 분석을 통한 보건의료 안전문제 도출

개발한 시범 모델에 근거하여 예비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SNS분석을 통하여 보건의료 안전문제 중 높은 빈도로 검색 또는 언급되고 있는 양악수술과 시력교정술을 핵심주제어로 선정하여 해당주제의 긍·부정어의 추이, 일별 검색어 건수의 변화 추이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연구동향을 분석해야 어떠한 측면의 안전성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였고, 역학 지표를 통해서는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관련 질병부담 및 역학적 심각성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SNS에서 무분별하게 공유되고 있는 의료시술과 관련된 정보는 의무기록조사 외에는 현황 파악이 불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전문가 의견을 추가하여 안전과 관련해야 할 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보건의료분야의 안전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를 산출하고 해당 주제에 대하여 임상 및 학문적으로 근거자료를 수집하여 안전성을 판단하는 관리모형의 제안에 그 의의가 있다.

현재 가용한 자원을 활용하여 감시할 수 있는 보건의료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제를 통해 건강이상 징후 또는 안전관련 징후에 대하여 사전에 경보를 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델은 향후 모니터링 시스템이 예방중심의 활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SNS를 분석하여 보건의료 안전이슈와 관련된 키워드의 동향이나 연관키워드 및 문서를 제공하고, 해당 이슈에 대한 관심도, 인식 상태, 주요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실마리정보를 통한 사전예방이 가능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는 데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표지]

[목차]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문]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목적

[2. 선행연구 및 현황]

2.1. 국외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현황

2.3. 국내 사례 조사

[3. 연구방법]

3.1.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3.2. 시범적용

[4. 연구결과]

4.1.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4.2.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시범 적용

[5. 고찰]

5.1. 연구결과 요약

5.2. 연구의 의의

5.3. 연구의 한계

5.4. 후속연구 제안

[6. 결론 및 정책제언]

[7.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426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와 함께하는 시대 / 김도식 2018  66
4267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2016  66
4266 9 보건의료 건강보험의 이념과 의료정책 / 이규식 2018  66
4265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2018  66
4264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2018  66
4263 9 보건의료 방사선 분야의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현황에 관한 연구 / 조영권 2017  67
4262 18 인체실험 How Closely Do Institutional Review Boards Follow the Common Rule? 2012  67
4261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2001  67
4260 14 재생산 기술 아버지 2명, 어머니 3명의 시험관 아기 / 박성래 1998  67
4259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2015  67
4258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425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2017  67
4256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및 한방난임치료 지원사업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2013  67
4255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2017  67
4254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2017  67
4253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2017  67
4252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통합 방안 / 정일영 외 2018  67
4251 9 보건의료 고등학생의 보건의료소비자 알 권리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김조영 2018  67
425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의 사이버 보안관제 서비스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이성훈 2018  67
4249 9 보건의료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한 사무장병원 규제/이명민 2016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