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62355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ildbirth Intention of Korean Married Women at Work-Focusing on labor and gender factors-

  • 저자[authors] 박소영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88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황명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정책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출산,출산의도,여성경제활동참가율,합계출산율,노동요인,젠더요인
  • 소장기관[Holding] 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
  • UCI식별코드 I804:11009-000000082748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bating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giving birth has become a crucial social issue in Korean society. However, sinc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researchers' personal interests and data, there we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ir findings. With the increasing of working and procreation issues for married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childbirth intention using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NSO)'s annual Census Big Data on Population and Housing.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working-participation types on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using the census big data by year by the NSO. In order to look at the relationship with childbirth int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patterns of married women, divided into labor factors and gen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effect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childbirth intention among married women was not significant in 2005 and 2010, it was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only in 2015. The childbirth intention for married women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labor force activities was 10.226 while those of who participate in the labor force was 7.389. This means that married women who participate in the labor force have a lower childbirth intention of 0.278 times than those of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labor force. On the other hand, work status among labor factor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Second, it was found that gender role and abortion experience among genders of married wome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birth intention. While the effect of gender role on childbirth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in 2005 and 2010, it was found to be very significant only in 2015. It has been shown that childbirth intention is 0.2 times higher if the married women do not follow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lso,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abortion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childbirth intention. In the case of women who have the experience of abortion, the childbirth intention increases by 2.4 times for a 1-unit increase. Third, based on the effect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ing married women on childbirth intention, age, age at first marriage, education level, religion, the number of children, the experience of career discontinuity, and work period were very significant. ①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number of birth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negative impact on the childbirth intention. ② The higher the age of the first marriage, the higher the childbirth intention: The childbirth intention increased by 0.108 times per 1-unit increase in the first marriage age; The odds ratio for childbirth intention increased by 1.186 times per 1-unit increase in the first marriage age. ③ The effect of education level on childbirth intention was very significant in 2005, while, not significant in 2010 and 2015. ④ The effect of religion on childbirth intention was very significant in 2005 and 2015 (Because religion was not investigated in 2010 census, 2010 data was excluded): In the case of married women having religion, the odds ratio increased by 0.613 times in 2005 and 0.766 times in 2015 separately. ⑤ The effect of the number of children on childbirth intention was significant in 2005, 2010 and 2015: The number of male births odds ratio: 0.839) has a negative impact on childbirth intention by 0.046 times compared to the number of female births odds ratio: 0.793). ⑥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career discontinuity on childbirth intention was very significant in 2015 (Because the experience of career discontinuity was not investigated in 2005 and 2010 census, those data was excluded). ⑦ The effect of work period on childbirth intention was very significant: The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who have work period 10 or more, but less than 15 was the most positive followed by that of 5 or more, but less than 10.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longer work period that makes stable status and type of employment is positive factors for childbirth intention. ⑧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housing occupied and whether they own housing in other regi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ildbirth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licy proposition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labor flexibility policies to enhance the labor participa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Second, the benefits of the government's childbirth policy need to be reformed considering the gender role change of married women.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abortion of women who are married at work. Fourth, a continuous support system for reemployment of married women should be established to resolve career discontinuities. Fifth, as the higher the age of first marriage, the higher the will to give birth of married women at work, it is needed to improv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marriage and childbirth. In addition, marriage and childbirth can assign not only many meanings to women’s lives but also be essential to complete life. In this sense, practical proposition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for labor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employment support institutions such as the vocational technology training school and the Center for Married Wome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prepare a capacity-enhancing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career breakout period of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ird, support for self-assembly activities of women with negative experience about the birth is needed. Fourth, expand flexible part-time job programs for women is necessary. Fifth, future studies need to deal with more valuables of working types of married women to examine the effect the working types on childbirth intention.

국문 초록 (Abstract) 
기혼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와 출산에 대한 논의는 우리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들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출산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노동요인과 젠더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노동요인 중 경제활동상태와 종사상지위가 안정적일수록 출산의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활동상태가 증가할수록 출산의도 없음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종사상지위가 안정적일수록 출산의도가 있음에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젠더요인인 초혼연령과 임신중절경험 유무는 출산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혼연령이 증가할수록 출산의도 없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임신중절경험도 출산의도 없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교육수준, 종교, 출산 자녀 수, 경력단절 경험, 근무연수는 출산의도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혼여성의 주택 점유형태와 타 지역 주택소유 여부는 출산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요인 강화를 통해 기혼여성의 노동유연화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초혼연령에 따른 정부의 출산 지원정책의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임신중절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노동시장 경력단절 여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취업의 사회적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노동시장 여건의 변화,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 등은 다양한 욕구를 주장하게 되며, 재취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원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노동요인과 젠더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노동요인과 젠더요인은 출산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출산의도의 요인을 노동요인과 젠더요인으로 제한하여 살펴보았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요인으로 살펴본다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48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2011  328
1447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8
1446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8
1445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기술 기반 서비스 산업의 딥러닝/ 황용득 2018  328
144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의료소송 판결문의 원인분석 방법의 활용 / 이원, 김소윤, 이미진 2014  329
144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1442 4 보건의료 철학 국내 의료계에서 시행 중인 금전적 인센티브 제도의 윤리적 쟁점들/정유석, 박석건 2015  329
144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1440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9
143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2018  329
1438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437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1436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30
1435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14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1433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1
1432 9 보건의료 병원 공간과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특성 연구 / 허지나, 이수진 2014  331
1431 9 보건의료 생후 90일 이하의 영아에서 호흡기 바이러스 검출과 관련된 위험인자 / 임연주 외 2014  332
1430 15 유전학 국제 사회에서 유전체 의료의 지적재산권 연구 / 김한나 2015  332
1429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