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의철학연구 제13집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2762507 
한국어 초록
  표준적인 의료윤리의 논의에서는 의사의 힘(권력)이 거의 들어오지 못했고 주로 의료사회학에서 다루어졌다. 푸코의 임상권력의 논의가 들어와서 의사의 힘이 논의되는 경우에도, 지배기술 위주의 구조주의적 논의에 머물렀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안 모델은 굴복(submission)이 아닌 주체화(subjection)로서, 이는 주체가 되는 과정과 권력에 의해 종속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권력은 억압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사회질서 속에서 지위를 생산한다. 환자는 의사가 휘두르는 권력의 지배하에 놓인 굴종의 존재이기만 한 것이 아니며, 의사 역시 권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푸코는 성의 역사에서 자기기술을 논하고, 이후에는 지배기술과 자기기술의 조합으로서의 통치성(governmentality) 개념을 도입하게 된다. 특히 통치성 개념은 지배기술 외에 자기기술을 포함한 역동적인 개념으로 주체화 개념과 이에 따른 권력의 생산성을 끌어낼 단초가 된다. 또한 푸코의 생명정치, 인구, 안보의 논의는 자유주의의 역설과 정당화를 끌어내고 있어 앞으로의 의료윤리의 논의에 주는 함의가 중요하다.
최근 의료윤리 논의에 일어나고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전환이 있다. 하나는 소위 공공 전회(Public turn)로서 그간 의사-환자 관계 위주로 다루어지던 의료윤리의 논의가 최근 공공철학이나 보건(정책)윤리의 관점에서 논의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제도 전회(institutional turn)로서 의사의 전문직 윤리를 병원조직이나 이를 둘러싼 보건의료제도의 틀 안에서 논하는 것을 이른다. 기존의 의료윤리 논의의 한계와 새로운 전회의 움직임을 배경으로 볼 때, 푸코의 자기기술과 통치성 개념, 인구, 안보와 생명정치 논의는 중요한 대목이다. 물론 하워드 브로디나 카를 야스퍼스가 의사의 힘에 대한 논의를 했지만, 둘 다 의사-환자관계에서의 의사역할하기(doctoring)차원이므로, 앞으로 통치기술이나 통치성 개념을 끌어들이면, 공공 전회와 제도전회 움직임과 맞물리면서 의료윤리담론의 발전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영어 초록

  In the discussion traditional conception of standard doctoring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 physician’s paternalistic intervention in patient’s care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has been widely accepted before the concept of patient autonomy and the doctrine of informed consent has been established in medical ethics discourse. Therefore, the idea of physician’s dominating power has been much less frequently directly introduced in medical ethics discourse than in medical sociology discussion. Actually, even in Foucault’s lectures, earlier ideas of discipline of governmentality in later period. As this happened especially through the discussion of bio-politics and population. According to Foucault’s discussion, technology of government is a dynamic combination of technology of self and technology of domination.
Patients are not dominated by physicians only and also physicians could be object of power. Subjection as an alternative of submission, and government as an alternative of domination has to be considered to embraced into the discussion of medical ethics. Foucaudian conception of technology of government helpful to strengthen the present discussion of medical ethics. This is especially so in terms of the recent ‘public turn’ and ‘institutional turn’ in healthcare ethics and medical professional ethics. Between the individual consumers and health providers and the government, mid-level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and third party payers like National Health Insurance healthcare governing body begin to be introduced in the medical ethics discourse. And also public accountability of public policy is already discussed in health care policy discourse. In this context of institutional will be very helpful in the debate and discourse on population health and accountable healthcare syste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푸코의 "자기기술"이라는 주제
3. 푸코를 통해 본 스토아철학의 자기기술
4. 기존 의료윤리 논의와 의사의 권력/힘
5. 푸코를 도입한 기존 논의의 한계
6. 푸코의 통치성(governmentality)의 개념의 유효함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푸코, 자기기술, 의료윤리, 의사의 힘(권력), 지배기술, 통치성, Foucault, Technology of Self, Government, Medical Ethics, Physician’s Power, Bio-politics, Population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의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Image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27625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1
237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4
23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5
235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6
23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7
233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7
232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80
231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82
23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5
229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85
228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6
22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90
226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97
225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5
22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7
223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7
222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9
221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3
220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7
21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17
218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