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7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시아여성연구 2013년 제52권 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309231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2010~20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여성주의 NGO와의 장기 현지조사 및 낙태 경험을 가진 여성 23명과의 심층 인터뷰, 그리고 의사, 과학자, 정책 담장자와의 면접 자료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변화하는 의료윤리와 저출산 위기 및 생명공학의 발전의 교차점에 위치한 현대 한국에서 이렇게 새로이 부상하는 생명 정치가 어떤 식으로 전문성의 정치에 의해 틀이 지워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낙태에 대한 공적 논쟁과 담론은 모두 단정적인 도덕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고 법적 논쟁에 의해 틀 지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생명윤리적 규제는 여성의 재생산권과 자율성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면서, 많은 여성주의자들은 정책 세계의 언어보다는 여성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그러한 맥락에서 각국의, 혹은 초국적인 인구 정책이 여성의 재생산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가라는 점에 대해서도 학자들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일단 여성의 경험에 대한 논의가 공적인 영역으로 들어오는 순간, 통계와 객관성처럼 건강 혹은 정책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언어 및 인식적 틀을 사용하도록 요구받게 된다. 이러한 전문 지식의 문화는 여성주의 운동이 “의학적으로 규정된” 사회 문제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새로운 과제를 던져준다고 하겠다.



영어 초록

  Based on the long term fieldwork in a feminist NGO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3 women with abortion experiences from 2010 to 2011, as well as interviews with doctors, scientists and policy-makers,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upon the ways this changing ontological politics of life, at the crossroads of changing biomedical ethics, national depopulation crisis and bio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been framed by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The public debate and the discourse on abortion often tend to be colored by judgmental moralism and/or framed by the legal debate. Confronting the bioethical regulation on abortion, which can seemingly limit the female reproductive rights and autonomy, many feminists have emphasized to prioritize the experiences of women over the languages of policy world. In the same thread, the ways national and transnational population policy has shaped the reproductive experiences of women have been relatively well attended by scholars. Yet, once the talks on women"s experiences enter into the public sphere, they are asked to adopt the same vocabulary and epistemic frame of statistics and objectivity that the experts, whether health or policy, employ. This culture of expert knowledge has posed a new challenge to the ways that feminist movement can engage with “medically-framed” social issues.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사회적 고통”으로서의 낙태  
Ⅲ. 여성 경험의 재현: 전문가 논의와 여성 언어 사의의 괴리
Ⅳ. 여성과 국가: 낙태 경험 재현의 어려움  
Ⅴ. 나가는 말: 전문성의 정치를 여성 운동의 의제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성적 시민권, 사회적 고통, 전문성의 정치, 낙태, 여성주의 운동, sexual citizenship, social suffering, the politics of expertise, abortion, feministmovement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3092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6
27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70
26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6
25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9
»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23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22 1 윤리학 미셸 푸코의 통치성 개념 연구 / 김정경 2016  637
21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30
20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4
19 15 유전학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 유전자 결정론과 생명계급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579
18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8
17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9
16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2
15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6
14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19
1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5
12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9
11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3
10 10 성/젠더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 조주현 2008  369
9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2
8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2015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