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 국어교육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86564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초록 ( Abstract )

  • 이 연구는 문학교육과 윤리교육의 매개체로서 도덕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문학교육을 통해 이를 신장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문학텍스트의 수용과정에서 ...
  • 이 연구는 문학교육과 윤리교육의 매개체로서 도덕적 상상력을 고찰하고 문학교육을 통해 이를 신장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문학텍스트의 수용과정에서 도덕적 상상력이 발현되는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현대윤리는 기존의 선험적인 윤리 지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수많은 도덕적 갈등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윤리는 보편적인 지식을 다루는 데는 강점을 지니나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문학은 구체성과 특수성은 강하나 보편성을 구안해 내기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이에 도덕적 상상력은 상상력을 윤리적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서사윤리학을 매개로 문학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사윤리는 서사의 윤리적 기능과 문학의 서사적 형식을 종합한 영역이다. 서사와 윤리는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윤리는 서사를 통해 대안적 윤리를 모색하였고 서사 역시 윤리를 통해 삶과의 연관성을 중시해왔다고 할 수 있다. 서사윤리란 불변하는 보편으로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새로운 특수가 기존의 잠정적 보편 윤리에 통합해 나가는 수정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임을 의미한다. 특히 소설은 인간의 갈등과 충돌, 선택을 통해 무엇이 윤리인가를 보여주고 독자의 평가나 판단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관점들의 정합들로 이루어지고 수정 가능성을 인정하는 열린 구조를 제공해 준다.
    문학에서 윤리적 가치는 텍스트 속에 형상화되어 내재해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명제 형식으로 직접 인지할 수 없으며 추체험을 통해 자기화해야 한다. 즉 작품 감상 결과 내면화에 앞서 독자가 문학의 윤리적 가치를 경험하는 방식이 무엇인가 먼저 해명되어야 한다. 이때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신장이 그 간극을 매워줄 매개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 작품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를 구안하여 생명윤리의 영역 중 자살, 사형, 안락사, 생명 복제를 다룬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윤리적 쟁점을 파악하고 이 쟁점이 드러난 실제 작품을 문학적 상상력과 사고 활동 구조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를 통해 해석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도덕적 주체로서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구안하였다.
    학습자는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발달단계를 거쳐 문학에서의 윤리적 또는 도덕적 가치를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여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도덕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는 주체로 성장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렇게 문학 감상이 이루어질 때 윤리 실천으로서의 문학교육은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며 문학의 눈으로 윤리 보기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문학을 통해 폭 넓은 가능성의 실현과 자아의 발달을 포용하는 기제로서 도덕적 상상력의 위치를 논한 것에 의의가 있다.





    목차 ( Index )

    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사 검토 4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8

    II. 문학교육과 윤리교육 13

    1. 문학을 통한 윤리교육의 필요성 13

    (1) 윤리교육의 한계 13

    (2) 문학교육의 반성 18

    2. 문학을 통한 윤리교육의 가능성 22

    (1) 상상력과 윤리교육 22

    (2) 서사윤리학과 문학교육 27

    III. 문학교육과 도덕적 상상력 32

    1.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과 의의 32

    (1)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 32

    (2) 도덕적 상상력의 의의 38

    2. 문학적 상상력과 도덕적 상상력 42

    (1)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구성 요소 42

    (2) 문학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의 기능과 양상 50

    IV.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1. ‘자살’의 윤리 문제 : <좀머 씨 이야기> 55

    2. ‘사형’의 윤리 문제 : <사형수 최후의 날> 70

    3. ‘안락사’의 윤리 문제 : <청원> 83

    4. ‘생명 복제’의 윤리 문제 : <블루프린트> 98

    V. 요약 및 결론 113

    참고문헌 116

    ABSTRACT 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7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336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2
    335 23 연구윤리 연구윤리 및 규정 준수를 위한 익명화 시스템 개발과 타당성 검증 / 유용만 2014  613
    334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333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4
    332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자기결정권 보호 방안 연구 : 사전의료의향서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신성식 2014  420
    331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20
    330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2015  420
    » 2 생명윤리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이은민 2014  394
    328 1 윤리학 원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쟁점 고찰 / 김은숙 2014  157
    327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9
    326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325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4
    324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6
    323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6
    322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윤정 2013  680
    321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825
    32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4
    31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318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명윤리 교육의 연구 / 김현진 2004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