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905985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 (A) study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저자 : 최근영
  • 형태사항 : iv, 100 p. ; 30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천수
    참고문헌 : p. 88-96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법학과 2012. 8
  • DDC : 340 2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이 논문은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 발생하는 법적 논점에 관한 글입니다. 이 논점은 특히, 민사법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 논의는 대법원 2009다17417 ...
  •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이 논문은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 발생하는 법적 논점에 관한 글입니다. 이 논점은 특히, 민사법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 논의는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이후에 많은 논의가 있었다.

    연명치료중단은 회복불가능한 환자에게만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연명치료중단은 생명권의 처분이라는 점에서 인정되기 어렵지만, 헌법상 자기결정의 원리로써 인정된다. 연명치료는 환자의 주된 병적 상태를 바꿀 수는 없이 생명을 연장하는 치료로써 의료행위의 범주에 포함된다. 따라서 연명치료에 대한 결정은 사전동의에 의하여 정당화 된다. 연명치료거부의 결정은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는 경우에 죽음을 거부하지 않는 것이므로, 비합리적인 결정이라고 보기 어렵다. 즉, 연명치료의 결정은 환자의 생명보다 자기결정을 우선시하여 인정되는 것으로 결정이 있는 경우에 응급의료보다 우선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연명치료에 대한 결정이 존재하지 않거나 추정적의사가 문제되는 경우에 생명의 존중을 위하여 연명치료는 개시되어야 한다.

    연명치료중단의 특별한 허용요건은 객관적 요건인 회생불가능성, 의학적 무의미성과 주관적 요건인 환자의 의사(意思)이 필요하다. 회생불가능성은 시술 가능한 모든 의료행위를 하여도 환자가 회생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로 의학적 판단의 문제로서 가치중립적 요소이다. 이에 반해 의학적 무의미성은 사망을 야기할 근본적인 질환을 치료할 수 없거나 급박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사망임박의 포함여부는 인간으로서는 사실상 할 수 없는 것이므로 포함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환자의 의사와 관련하여서는 현실의사와 추정의사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현실의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치료거절의 경우와 같이 환자의 의사에 따라 인정하면 될 것이다. 현실의사는 거절 내지 중단의 시점에 표시된 의사이고, 언어에 의한 명시적 표시와 행위 등으로 이루어지는 묵시적 표시를 불문하는 것이다. 추정적 의사는 현실의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연명치료중단을 인정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실체적인 의사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확인된 의사에 따라 인정하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경제적인 이유 등에 의한 연명치료중단은 인정되지 않는다.

    사전의료지시는 의료의 내용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고 표현할 능력을 상실하거나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 대비하여 사전에 자신이 받기를 원하는 의료의 범위와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의 치료거부를 전제인 자기결정의 한 모습이다.
    연명치료중단이 진료계약 관계의 종료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연명치료중단은 진료계약의 해지로 오해받기 쉽다. 연명치료중단은 동의능력이고, 연명치료중단을 일부만 중단하면 그 이외의 치료행위는 계속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연명치료중단은 진료계약의 해지가 아니다.

    질병이 있는 경우에 적용되는 성년후견제도는 연명치료중단에는 적용이 없다. 환자 상태의 개선을 목적으로 성년후견제도는 죽음에 가까워지는 연명치료중단과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연명치료중단의 결정을 후견인의 동의로 확장하는 것은 연명치료중단의 허용경계선을 확장시키는 것이고, 후견인이 연명치료중단의 결정에 권한을 남용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연명치료중단의 경우에는 성년후견제도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3
    2628 2 생명윤리 동물의 권리문제와 불교의 생명윤리 / 허남결 2011  180
    262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를 둘러싼 프랑스의 법적 동향 / 김현진 2018  180
    2626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80
    »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연구 : 민사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 최근영 2012  181
    2624 20 죽음과 죽어감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관계적 자율성 : 환자의 연명의료결정과 가족의 개입을 중심으로 / 이소영 2014  181
    262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1
    2622 15 유전학 유전체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자의 구현 및 성능분석 / 송명선 외 2012  181
    2621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62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尊嚴死)에 관한 법적고찰 / 남윤봉 2017  181
    2619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618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1
    2617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1
    2616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2
    261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2
    2614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2
    261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261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2611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2
    261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2
    2609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