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3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집 Vol.14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29931 

응급환자의 법적 정의와 해당성 판단 = Legal Definition of Emergency Patient




초록 ( Abstract )

  • 응급의료법에 의한 응급환자의 정의는 질병, 분만,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기타 위급한 상태로 인하여 즉시 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심신상...
  • 응급의료법에 의한 응급환자의 정의는 질병, 분만, 각종 사고 및 재해로 인한 부상이나 기타 위급한 상태로 인하여 즉시 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아니하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심신상의 중대한 위해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 또는 이에 준하는 자이다. 응급환자의 정의는 응급의료법의 해석에 의해 대상과 적용범위가 정해진다. 응급환자의 개념은 응급의료법이 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의학의 수준과 사회통념을 표준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단지 그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이나 의료기관의 행정 처리의 편의를 위한 환자 상태의 분류 등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 응급의료법에서 응급환자의 정의가 적용되는 범위는 응급의료거부죄, 비응급환자의 이송, 미수금대불제도의 적용대상 등이며, 법체계 전체에 걸쳐 같은 응급환자의 개념이 일관되게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방법은 그 주체와 판단시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후향적으로 객관적 사후예후에 의해 판단할 경우에도 ‘진료 당시’에 제시된 객관적인 판단근거가 충분한지 여부와 그 근거의 적절성에 의해서 응급환자 해당성이 판단되었는 지에 따라 적절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행위 당시에 행위자, 여기서는 응급 의료종사자가 인식한 사정 및 인식할 수 있었던 사정을 기초로, 행위 당시에 객관적으로 확인된 사정을 판단의 기초로 삼아 응급환자 해당성이 판단되어야 한다.




    목차 ( Index )

    Ⅰ. 서 설

    Ⅱ. 응급환자의 법적 정의

    1. 응급의료법상 응급환자의 정의

    2. 응급환자 개념의 적용 범위

    Ⅲ.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

    1.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주체

    2.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방법

    3.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시점

    Ⅳ. EMTALA에서 의학적 응급상황 존재여부에 따른 응급환자 해당성 판단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1
    52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2
    51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50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49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48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7
    47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4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의 치료중단 특성과 주간호제공자의 경험 / 김정희 2003  364
    4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4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2005  419
    4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윤리에서의 환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송현미 2000  600
    42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4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4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2010  518
    39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53
    3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6
    3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 박재영 2011  210
    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자율적 치료선택과 관련된 의사 역할에서의 딜레마 고찰 : 호스피스를 중심으로 / 정하윤 2004  544
    35 20 죽음과 죽어감 암 환자의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 : 피험자 보호 관점에서 / 김지예 2013  142
    » 9 보건의료 응급환자의 법적 정의와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09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