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8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376129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Analysis of decision-making in ethical dilemma cases among clinical nurses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
  • 본 연구는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중환자실에 근무중이거나 과거에 중환자실 근무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1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까지였고, 자료수집 방법은 간호부서의 동의를 받아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면담법과 구조화된 면담조사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장소는 피면담자가 근무하는 중환자실이나 병동의 간호사 휴게실을 사용하였고, 면담시간은 1회 평균 40분 정도로 총 면담횟수는 3회였다. 자료분석은 질적 연구의 자료분석 절차를 참고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4개의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서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시에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Value)와 되고자 하는 바람직한 간호사의 모습(Be)과 행해야한다고 생각하는 행동(Do)에 대한 의사결정을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의사결정 과정의 일관성을 파악한 결과 딜레마 사례별로 간호사의 대부분은 Value, Be, Do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의사결정을 하였는데 전체 사례에서 총 8명의 간호사들이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고, 사례별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한 간호사를 보면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에서는 3명, 말기환자에게 사실 말하기 사례에서는 1명, 의료진과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서는 3명,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서는 3명의 간호사가 있었다. 간호사 개인별로 보았을 때는 한 명의 간호사가 3개의 딜레마 사례에서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을 하였다. 일관성이 결여된 의사결정의 경우에서 판단의 기준이 된 가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과 행동이 연계되지 않은 경우, 가치와 모습은 연계되었으나 행동으로 통합되지 않는 경우 등이 있었다.
    가치(Value)와 모습(Be)과 행동(Do)의 의사결정 내용을 분석하여 도출된 Value, Be, Do의 중심개념은 사례별로 다음과 같았다.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사례의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적극적 처치의 무의미성, 인간의 존엄성, 가족의 부담 경감, 환자와 보호자 존중, 환자 · 보호자 · 치료진간의 합의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시 개념은 충실한 직무수행, 불필요한 연명술 중단, 의료진과 협동, 환자 · 보호자 옹호, 가족과 의사 설득 등이었다.
    말기 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의 알권리, 생을 정리할 기회, 환자 · 보호자 존중, 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와 중개자와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사실알리기, 환자와 가족의지지, 보호자와 의사 설득, 호스피스 간호 제공, 보호자의 요구존중, 보호자와 환자간에 대화 중재 등이었다.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환자존중, 생명존중, 협동관계, 환자와 보호자 존중,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등이었다. 간호사의 모습(Be)의 중심개념은 협력자, 옹호자, 제안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의 행동(Do)의 중심개념은 충실한 직무 수행, 대화로 타협, 공식적 대화채널 이용, 의료진과 협동, 환자 배려 등이었다.
    임종환자와 안락사 사례에 대한 간호사 가치(Value)의 중심개념은 합법성, 인간의 존엄성, 정직성, 전문직 간호사의 의무, 환자요구 존중 등이었다. 간호사 모습(Be)의 중심개념은 옹호자, 준법자, 중개자, 협력자로 구분되었다. 간호사 행동(Do)의 중심개념은 허위기록 거부, 의료진과 협동, 의사잘못 묵인, 적극적인 안락사 반대, 상관에게 보고 등이 있었다.
    Value, Be, Do의사결정 모형의 적용에 대한 평가에서 간호사들은 딜레마 상황에서 의사결정 시에 일관된 가치관을 수립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하고 갈등상황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앞으로 간호사들이 명확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간호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졸업 후 보수교육을 통해 계속적인 윤리 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겠고, 의사결정 시에 윤리적으로 옳고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할수 있도록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임상 적용이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목차 ( Index )

    목차 = ⅰ

    표차례 = iii

    부록차례 = iii

    국문요약 = i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정의 = 3

    II. 문헌고찰 = 5

    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 5

    2.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 7

    3.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 9

    III. 연구방법 = 12

    1. 연구설계 = 12

    2. 연구대상자 = 12

    3. 연구도구 = 14

    4. 자료수집 절차 = 15

    5. 자료분석 = 16

    IV. 연구결과 = 17

    1.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 분석 = 17

    1)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 17

    2) 말기환자에게 사실을 말해야 하는 경우 = 22

    3) 의료진과의 상호 비협조적인 관계로 인한 갈등 = 26

    4) 임종환자와 안락사 = 31

    2. Value, Be, Do 의사결정의 중심개념 = 35

    3. Value, Be, Do 의사결정모형 적용에 대한 평가 = 40

    V. 논 의 = 43

    1.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의사결정 분석 = 43

    2. Value, Be, Do 의사결정의 중심개념 = 52

    3. Value, Be, Do 의사결정모형 적용에 대한 평가 = 57

    VI. 결론 및 제언 = 59

    1. 결론 = 59

    2.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67

    영문초록 = 9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99
    7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107
    76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7
    »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90
    7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73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3
    72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77
    71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7
    7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
    69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68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8
    6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 치과의사의 전문직업성과 의료윤리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이겸 2004  782
    6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5
    6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감수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2014  682
    6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를 통해 본 호스피스 암환자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호민 2009  681
    63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664
    62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의 논변 분석을 중심으로/정연재 2015  608
    6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8
    60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2
    59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 이은영 2014  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