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2663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 Decision making of Resuscitation : Withhold or Withdrawal in Emergency Medical System





초록 (Abstract)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들에게 특별한 예외가 없다면 심폐소생술은 즉각적으로 시행되어 져야 한다. 그러나 소생술이 궁극적으로 심장기능의 회복에 도움을 주지 않고, 당사자가 소생술을 원하지 않았던 것이 명백하다는 이 2가지가 모두 만족된다면 소생술의 유보나 중단은 정당화 될 수 있다. 국내의 현실적 여건과 응급실의 상황들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필수적 요건들이 충분한 근거에 의해서 만족되기 어렵다. 이에 저자는 심정지가 발생한 후 병원 전 단계와 병원단계에서 심폐소생술을 유보하거나 중단할 수 있는 시점들을 지정하였으며, 이때에 만족시켜야 하는 요건들을 알아보았다. 병원 전 단계 심정지에서는 응급구조사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기 때문에 유보나 중단에 대하여 의학적 측면에 근거한 의료지도가 필수적이다. 병원 단계 중 응급실의 초기 단계에서는 생명의 이익에 근거한 의학적 판단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심정지 후 치료까지를 포함한 넓은 범위의 심폐소생술의 과정에서는 후반부에 이를수록 의학적 판단 이외에도 가치 판단적 요인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심정지시 응급실에서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의 유보, 중단을 위해서는 단계에 따라 충족시켜야하는 요건들이 달라질 수 있으며, 환자 이익의 측면에서 이를 정당화 시키는 절차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2
  • I. 서론 3

    II. 응급의료와 소생술 4

    1. 응급의료의 특성 4

    2. 소생술 5

    3. 응급의료에서의 소생술 7

    III. 응급의료에서 소생술 시행, 유보, 중단 9

    1. 소생술의 유보, 중단 논의의 필요성 9

    2.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의 유보, 중단의 단계와 요건 11

    IV. 소생술과 관련한 의사결정 16

    1. 응급의료에서 의사결정의 의미와 필요성 16

    2. 소생술 중지와 관련한 의사결정 18

    V. 결론 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환자와 가족의 연명치료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의료보험법을 중심으로 / 한수연, 이홍직 2013  238
    57 20 죽음과 죽어감 의학적 의사결정에서 덕과 인 함의:『논어』를 중심으로 / 손보미 2017  248
    5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고통의 의미와 의사의 바람직한 대응 및 태도 / 유호종 2014  249
    5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5
    54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medical futility)/김진경 2010  282
    5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경제적 설명의무 / 최행식 2014  284
    5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와 자율성의 한계/이인국 2016  289
    50 8 환자 의사 관계 외래환자와 의료진의 공유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 'S' 대학병원 일부 외래 의료진의 인식 / 김미선 2010  290
    49 9 보건의료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 공정경쟁규약의비교법적 고찰 및 개선방안: 국제약업단체연합회 소속 협회 규약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안효준 2015  295
    4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동의의무에 대한 인식과 실천 조사 / 이윤영 2004  297
    » 9 보건의료 응급의료에서 소생술에 관한 결정 : 유보, 중단을 중심으로 / 김아진 2014  310
    4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
    45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7
    44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5
    4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6
    4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41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4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51
    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