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62529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A study of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o Not Resuscitate' between medical doctors and relative caregivers for the patient with a advanced disease


  • 저자 : 정영란
  • 형태사항 : 58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강성욱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보건학 2014. 2
  • 발행국 : 경상북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심폐소생술, 중증환자, 말기환자, DNR




초록 (Abstract)

현대의학과 의료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심폐소생술의 보급으로 생명의 치료와 연장에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예견된 죽음을 앞둔 중증 · 말기 환자의 경우 심폐소생술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의견이 제기되면서 최근에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의 입자에서도 심폐소생술거부(Do Not Resuscitate: DNR)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 및 경산에 위치한 대학 병원과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5곳에 근무하는 의사 100명과 환자보호자 100명으로 총 200명이다. 본 연구는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DNR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NR의 사전 설명 필요성에 대해 의사(89.0%), 환자보호자(92.0%) 모두 필요하다고 했으며 DNR 결정이유는 의사는 회복 불가능(87.0%), 환자보호자는 고령(83.0)%인 경우가 많았다.
2. DNR 설명의 적합한 시기는 의사(48.0%), 환자보호자(55.0%)가 중환자실 입원할때로 대답했으며, DNR 설명후 인식의 변화는 의사(88.0%), 환자보호자(77.0%)가 인식의 변화가 있다고 대답하였다.
3. DNR의 바람직한 결정자는 의사(63.0%), 환자보호자(71.0%)가 환자보다는 직계가족이라고 대답하였다.
4. DNR 결정 후 의료진의 치료소홀 가능성과 보호자의 관심감소 가능성에 대해 의사와 환자보호자는 상반된 의견을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5. DNR 결정 환자의 표식 여부에 대해서는 의사(46.0%), 환자보호자(26.7%)가 필요하다고 대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7).
6. 차후 본인의 DNR 결정 여부에 대해서는 의사(78.0%), 환자보호자(64.0%)가 할 것이라고 대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29).
DNR의 사전 설명 필요성에 대해서는 의사나 환자보호자 모두 공감하고 있으며 DNR의 결정이유는 회복 불가능과 고령이 가장 많았다. DNR의 실질적 결정은 가족중심적인 우리나라 문화상 환자보호자가 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므로 DNR에 대한 윤리적,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유언이나 가족을 법적 대리인으로 지정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DNR 결정 후 환자보호자는 의료진의 치료가 소홀해질거라 생각하므로 DNR 표식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DNR 결정환자에게 좀 더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NR에 대한 인식은 의사가 환자보호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가 전문적 지식과 질병의 예후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DNR 문화가 잘 정착되려면 의사, 환자, 그리고 가족 등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의사의 정확한 판단과 환자의 DNR 여부 사전 작성, 환자의 법적 대리인 지정 등의 법적 절차가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33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337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336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2014  861
33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52
33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332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9
»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33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시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부화술에 관한 연구 / 박성백 2014  777
32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7
32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32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43
326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37
325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2015  725
324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323 18 인체실험 수컷 생식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식독성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 전혜련 외 2015  685
322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5
321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32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