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법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7844701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gislation of artificial insemination


  • 저자 : 이정식
  • 형태사항 : vi, 92 p. : 삽도 ; 26 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의료법윤리학과 2000. 8
  • KDC : 517.12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0
  • 주제어 : 인공수정, 보조생식술, 불임치료, AIH(Artificial Insemination by Husband), AID(Artificial Insemination by Donor)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i
  • 국문요약 = iv

    I. 서론 = 1

    1. 연구 배경 = 1

    2. 연구 목적 = 2

    II. 연구 방법 = 3

    1. 연구 방법 = 3

    2. 연구 모형 = 3

    III. 인공수정의 개념 = 4

    1. 인공수정의 정의 = 4

    2. 인공수정의 연혁 = 5

    3. 인공수정의 유형 = 6

    4. 인공수정의 의학적 적응증 = 10

    5. 인공수정과 다른 의료행위의 차이점 = 11

    IV. 우리 나라 인공수정 현황과 문제점 = 13

    1.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인공수정 시술현황 = 13

    2. 1995년도 유형 및 건수 = 14

    3. 1997년도 유형 및 건수 = 15

    4. 문제점 = 16

    V. 인공수정 입법에 관한 각국의 형태와 내용 비교 = 23

    1. 서설 = 23

    2. 각국의 입법형태와 내용 = 23

    3. 각 내용별 비교 = 29

    VI. 인공수정에 관한 입법 방향 = 46

    1. 입법의 필요성 = 46

    2. 입법의 태도와 형태 = 47

    3. 입법에 포함될 내용 = 48

    참고문헌 = 51

    =Abstract= = 53

    부록 = 58

    1. 인공수태 윤리에 관한 선언 (1993년 5월) - 대한의학협회 = 58

    2. 사람의 정자·난자·수정란을 취급하는 연구에 관한 견해와 해설 (1985년 3월) - 일본산부인과학회 = 64

    3. 독일의 수정란(배아)보호법 (1990년 12월 제정) = 66

    4. 스웨덴의 인공수정법 (1984년 12월) = 71

    5. 영국의 인간수정 및 태생학에 관한 백서 (1987년) = 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발행년 2008 

    • 조회 수 78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발행년 2004 

    • 조회 수 78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발행년 2012 

    • 조회 수 7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발행년 2010 

    • 조회 수 78

    15 유전학 From consent to institutions: Designing adaptive governance for genomic biobanks

    발행년 2011 

    • 조회 수 78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77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7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발행년 2017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발행년 2017 

    • 조회 수 77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발행년 2000 

    • 조회 수 77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77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77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발행년 1994 

    • 조회 수 77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발행년 2019 

    • 조회 수 76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