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집 Vol.17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62398 

학술연구논문 :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Articles : The Issues and Suggestions of Organ Transplant in Korea


  • 제어번호 : 99769983
  • 저자명 : 김현철 ( Hyeon Cheol Kim ) ,김휘원 ( Hwi Won Kim )
  • 학술지명 :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 권호사항 : Vol.17 No.4 [2013]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28-251(24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3년
  • KDC : 360.4
  • 등재정보 : KCI등재
  • 주제어 : 2010년 장기이식법 ,장기구득기관 ,공적 관리 ,통합 기증자법 ,Korean Organ Transplant Act of 2010 ,Organ Procurement Organization ,Public Management ,Regulatory Framework ,Donor Act



초록 (Abstract)

  • 장기이식술은 만성질환자에 대한 최후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장기이식술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해 왔다. 그런데 장기의 공급은 그에 미치지 못해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장기의 수요와 공급의 극심한 격차로 인해 장기 매매 등의 부작용이 사회 문제화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1999년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지금까지 여러 차례 개정 과정을 거치면서, 국가 조직으로 장기이식을 담당하는 KONOS를 신설하고 장기 매매를 금지하는 등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그러나 그동안 신체를 훼손하려고 하지 않는 전통 문화의 영향, 효율적인 장기구득 체계의 미비 등의 이유로 장기 기증률은 그다지 높아 지지 않았으며, 뇌사자 기증보다는 생체 기증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2008년 최요삼 선수의 뇌사 후 장기기증이나 2009년 김수환 추기경의 사후 각막 기증 등의 미담 덕분에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2010년 개정법을 통하여 능동적인 장기구득을 위한 장기구득기관 제도(OPO)를 신설하고 이를 운용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개정법은 뇌사자 장기 구득의 방향을 제시하였지만, 그 동안의 누적된 제도적 현실을 모두 타개할 수는 없었고 현재도 법규범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2010년 개정법에 따른 장기구득기관제도의 신설에 따른 한국의 장기이식체계가 갖추어야 할 모습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장기기증의 원칙들을 알아보고, 장기이식체계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모델을 살펴 보고자 한다. 미국은 민간 중심의 네트워크형의 모델을, 영국은 중앙집중형의 모델을 가지고 있는데 이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형의 장기이식 모델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델이 위와 같은 구조적인 요청에 합당하게 나아가기 위해서는 원칙을 제시하고 그에 합당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장기이식제도의 정책적 원리로서 공공성의 요청, 윤리성의 요청, 국민 보건의 요청, 효율성의 요청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증, 구득, 배분, 정보관리 체계를 재구조화하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한국의 장기이식 현황

    Ⅱ.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 및 문제점

    1. 기증 및 등록 체계

    2. 구득체계

    3. 정보관리체계

    4. 소결

    Ⅲ. 장기이식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

    1. 규제 정책의 기본 원리 : WHO 가이드라인

    2. 미국과 영국의 정책 모델

    3. 영국 모델 : 중앙집중형 공적 관리

    4. 소결

    Ⅳ. 쟁점에 대한 전략과 정책의 모색

    1. 정책의 전략

    2. 공적관리의 목표

    3. 한국형 공적 관리 모델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75

    1 윤리학 분배정의론이란 무엇인가? -자유주의 분배정의론의 쉬운 이해와 통괄적 연구를 위한 틀 / 김동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3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3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3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3

    10 성/젠더 생명의료윤리 관점에서 소아기호증 상습성폭력범에 대한 성충동 약물치료의 정당성 논의 :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주요 쟁점 / 차승현

    발행년 2010 

    • 조회 수 423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3

    9 보건의료 만성질환 의료이용 분석과 개선방안 - 고혈압, 당뇨병을 중심으로 - / 박은자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발행년 2010 

    • 조회 수 422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2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2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421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역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김상득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1

    1 윤리학 생명윤리법학의 의의 / 김현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1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2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발행년 2006 

    • 조회 수 42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발행년 2009 

    • 조회 수 420

    4 보건의료 철학 말기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민감한 간호' 경험 / 권신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419

    1 윤리학 영상정보처리장치(CCTV)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장성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