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52829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Hospice Volunteer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http://www.riss.kr/link?id=T13952829



저자 : 강선미

형태사항  : 181 p.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한영주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상담학과 2016. 2

발행국 : 서울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6

주제어  :  중년 여성, 호스피스, 호스피스 자원봉사, 자원봉사 경험, 해석학적 현상학

소장기관  :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 방법으로 중년 여성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본질과 그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중년 여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관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의 호스피스 병동 또는 독립 기관에서 3년 이상 호스피스 자원봉사를 경험했거나 경험하고 있는 만 40세에서 65세 미만의 중년 여성 8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半) 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심층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예비 연구를 포함한 총 수집 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9월까지이며, 녹취된 모든 인터뷰의 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직접 필사되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48개의 하위 범주, 12개의 소주제, 4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중년 여성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에서 경험하는 본질적 주제는 ‘간절함의 공감으로 하나됨’, ‘죽음에서 삶을 배워감’, ‘관계 속 진정한 나를 찾아감’, ‘내가 선택한 봉사의 삶을 살아감’이었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간절함의 공감으로 하나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죽음과 통증의 극한 고통 앞에 있는 환자들에게 안타까운 마음으로 그들이 겪는 고통에 공감하며 자발적으로 봉사를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들은 신체적 돌봄을 주로 하지만, 자신의 봉사를 환자를 위하는 마음으로 함께 함, 나눔 등의 동등한 인간으로서 봉사를 행하는 것으로 경험하였다. 이때 환자의 고통에 공감하는 마음은 봉사자와 환자의 관계뿐 아니라, 환자와 가족,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풀어주는 정서적 소통으로 이어져 사회적인 상처가 되지 않고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였다. 환자의 돌봄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한 명의 역할이 아닌, 여러 명의 공동체적 돌봄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심리적·신체적으로 소진이 큰 호스피스 자원봉사를 지속하는데 봉사팀원의 화합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주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환자들의 다양한 죽음을 통해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지 알게 되는 ‘죽음에서 삶을 배워감’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에서 가장 크게 경험하는 것은 환자의 임종이었으며, 수많은 환자의 죽음을 보면서 누구나 죽는다는 진리와 자신에게도 죽음이 멀지 않았음을 절실히 깨달음으로써 강력하게 자신의 삶에 대한 욕구와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환자들이 얼마 남지 않은 생애를 가족과의 화해와 사랑으로 나누는 진실한 모습 또는 외면과 갈등으로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모습 등, 삶을 정리하는 다양한 모습을 가까이에서 봄으로써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 ‘삶에서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배움을 얻고 있었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가족과 사랑을 나누며 주변 인간관계를 잘 맺고 건강하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이며, 이를 ‘삶의 지혜, 지침서, 세상 공부’ 등 스스로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죽음 속에서 삶을 배우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관계 속 진정한 나를 찾아감’의 주제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자신의 삶과 인간관계를 되돌아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무런 대가없이 환자를 위해 봉사하는 진실한 마음을 환자가 ‘감사함’의 말 한마디로 알아줄 때, 자신의 존재가치를 크게 느끼며 봉사의 큰 활력소와 보람을 얻고 있었다. 이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봉사를 통해 새롭게 이타적 자아정체성을 형성해감으로써 중년기에 당면한 정체성의 혼란을 해결해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자아 인식의 확대와 공감능력의 발달, 타인을 진정으로 위하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반성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중년기에 겪는 다양한 생애 사건에서 기존의 개인적 이기심과 사회적 신념을 버리고 자신과 가족 간의 진정한 관계를 재구성해나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은 ‘내가 선택한 봉사의 삶을 살아감’의 본질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봉사를 지속하는데 ‘의지’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자신이 원하는 봉사를 선택하는 자유의지를 발휘함으로써 생각과 행동을 일치시키는, 보다 성숙하고 통합된 실존적인 삶을 살아가게 하였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은 봉사를 통해 단순히 개인적 만족과 보람을 넘어서 가족과 사회에 일임하고 다음 세대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인 주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이타적 경험을 추구하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개인적 가치가 사회에 공유되는 보편적 가치로 확장됨을 알 수 있다. 이들의 호스피스 자원봉사는 타인을 위해 봉사를 함으로써 자기실현을 하는 자기초월성을 경험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타적 삶이 자신의 존재감을 높이는 일이 됨과 동시에 삶의 의미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을 통해 중년기에 겪는 다양한 생애 사건을 겪으며 변화되는 역할 상실로 인한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어떻게 극복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지를 확인하였다.



[목차]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질문 8

  • II. 이론적 배경 9

  • 1. 중년 여성 9

  • 1) 중년에 대한 이해 9

  • 2) 여성의 중년기 변화 14

  • 2. 호스피스 자원봉사 20

  • 1) 호스피스의 개념 및 현황 20

  • 2) 호스피스 자원봉사에 대한 이해 22

  • 3) 호스피스 자원봉사 관련 선행연구 25

  • III. 연구 방법 32

  • 1. 현상학 연구의 이해 32

  • 2. 연구 절차 34

  • 1) 예비 연구 및 연구 참여자 선정 34

  • 2) 자료 수집 및 윤리적 고려 39

  • 3) 자료 분석 42

  • 4) 연구자의 준비도 및 자기 이해 44

  • 5) 연구 평가 48

  • IV. 연구 결과 51

  • 1. 간절함의 공감으로 하나됨 52

  • 2. 죽음에서 삶을 배워감 70

  • 3. 관계 속 진정한 나를 찾아감 96

  • 4. 내가 선택한 봉사의 삶을 살아감 122

  • V. 논의 133

  • VI. 의의 및 제언 150

  • 참고 문헌 156

  • 부 록 167

  • <부록 1> 연구 참여자 모집 안내문 167

  • <부록 2> 연구 참여 설명서 168

  • <부록 3> 연구 참여 동의서 169

  • <부록 4> 인터뷰 일정 170

  • <부록 5> 인터뷰 질문 171

  • <부록 6> 참여관찰 일지 172

  • <부록 7> 연구 참여자 소감 174

  • Abstract 17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80
    25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24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72
    23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22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5
    »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9
    2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6
    19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17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1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5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1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13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5
    12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11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10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9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4
    8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4
    7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