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390110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http://www.riss.kr/link?id=A101390110


 저자명 김은성 

 학술지명 한국위기관리논집

 권호사항 Vol.11 No.10 [2015] 

 발행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발행처 URL http://www.cemtp.re.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1-109(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주제어 메르스  , 위험소통  , 결핍모델  , 맥락적 모델  , MERS  , risk communication  , deficit model  , contextual model 

 


판매처 학술교육원 학술교육원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위험소통은 2015년 상반기 발생한 메르스 위기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감염자가 방문한 병원의 이름을 정부가 늦게 공개하는 바람에 메르스가 여러 병원으로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공포가 증폭되었다. 이 글은 이 메르스 위기 당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진 위험소통이 실패하게 된 사회적 원인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이 글은 정부의 위험소통전략을 “결핍모델”로 해석하면서 “맥락적 모델”의 관점에서 결핍 모델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다. 특히 위험소통에서의 과학적 불확실성, 이해관계, 정부의 신뢰, 대중의 정체성 형성 및 낙인효과에 대한 함의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메르스와 같은 신종전염병 관련 위험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고찰: 대중들의 위험인식의 두 가지 모델
  • 1. 결핍모델
  • 2. 맥락적 모델
  • III. 메르스 위기의 정책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
  • 1. 메르스 위기의 정책적 요인
  • 2. 메르스 위기의 사회구조적 요인
  • IV. 메르스 위기에서의 정부의 위험소통
  • 1. 메르스 위험의 축소 발표
  • 2. 언론 창구의 일원화 및 트위터(twitter) 비공개로 전환
  • 3. 병원정보의 늑장공개
  • 4. 정보공개관련 감염병 위기관리메뉴얼의 무시
  • V. 메르스 관련 위험소통의 한계 및 문제점 분석
  • 1. 과학적 불확실성과 위험소통의 지연
  • 2. 공무원/전문가들의 이해관계와 위험소통의 지연
  • 3. 정부에 대한 신뢰부족과 위험소통의 한계
  • 4. 결핍모델 위험소통에서의 대중에 대한 인식
  • 5. 감염자/격리자에 대한 낙인이 위험소통에 미치는 영향
  • VI. 결론: 위험소통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
  • Reference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68 5 과학 기술 사회 유럽연합과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입법개선을 위한 소고 / 임규철 2018  376
    3467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3466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6
    3465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3464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6
    3463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3462 20 죽음과 죽어감 DNR에 대한 환자 보호자의 윤리적 인식 및 태도 / 송경옥 2010  376
    3461 19 장기 조직 이식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박혜지 2014  375
    3460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2014  375
    3459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 삶을 바꿀 2045년 미래로봇 /강철구 외 2015  375
    3458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5
    345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3456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4
    3455 22 동물복지 동물실험과 심의 / 김명식 2007  374
    345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4
    3453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2015  374
    3452 1 윤리학 변호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법적구성과 유형화를 중심으로 / 권혁종 2018  373
    3451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345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3
    3449 16 환경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수향, 이승하 2016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