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층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17596 

[DBpia: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철학논총 제73집, 2013.7, 239-258 (20 pages)

공학윤리

- 문제해결 중심의 접근과 도덕적 추론

Engineering Ethics ; A Problem-solving Approach and Moral Reasoning
이재숭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217596



  • 한국어 초록

    공학윤리 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전문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 즉‘전문가적 책임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지적인 이해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문직업인으로서 공학인들에게 요구되는 사회적인 책임들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①기술 발달과 사회적 복지 사이의 복잡한 관계들을 깨닫는 것, ②엔지니어들의 전문가적 책임들과그러한책임들을 실천하기 위한규범들을 이해하는 것, ③전문가의 책임에 관해서 성숙한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그러한 책임들이 제기될 때 윤리적 딜레마들을 다루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능력들의 배양을 위해 공학교육의 강조점은 기계적인 행위나 특수한 규범들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사려 깊은 윤리적 통찰과 문제해결 능력에 주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한 교육의 결과가 ‘윤리적 감성의 증대’, ‘행위의 기준들에 대한 지식의 증대’, ‘윤리적 판단 능력의 향상’, ‘윤리적 의지력의 증대’라는네 가지 결과들을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는일반적 합의가 있다. 공학인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판단 능력과 이러한 사회적 책임으로 인해 윤리이론과 윤리강령들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 방법은 이에 더해 다양한 공학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윤리의 효율적 교수방법으로서의 사례중심의 교육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윤리 문제해결의 과정에 있어서 윤리 이론들과 타당한 도덕적추론에 의해 그것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공학윤리 교육에서 우리가 사례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은 쉽게 동의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곧 윤리 이론들을 무시해도 좋다는 것을 함의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이 윤리적 추론 능력을 결여하고 있다면 사례중심의 문제해결 방식이 아무리 효율적인 방식이라 하더라도 목적한 바를 성취하기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사례에 대한 문제해결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하나의 대안적 행동인데, 왜 그것이 대안적 행동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들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목차

    [한글요약]
    1. 들어가는 말
    2. 예방윤리로서의 공학윤리
    3. EC 2000과 KEC 2005의 인증 기준과 교육 내용
    4. 교수 방법의 경향들
    5. 보완적 교수 방법의 제언 : 도덕적 추론 능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968 1 윤리학 성과사회와 철학적 병: 샌델의 정의론으로 치유하기 /하종수, 최희봉 2017  86
    3967 9 보건의료 병원의 환자안전 현황과 과제 / 서제희 2016  86
    3966 1 윤리학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 추정완 2019  86
    3965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유명희 2017  87
    3964 9 보건의료 보편적 의료보장 관점에서 본 외국인환자 사전·사후관리 개선방안 연구 / 김지영 2018  87
    3963 22 동물복지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조건에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 규명 / 편해인 외 2018  87
    396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과정에서의 정책행위자의 신념(beliefs)과 이해(interests): 의료민영화논쟁의 경우를 중심으로 / 김순양 2017  87
    3961 10 성/젠더 젠더관점에서의 난자 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검토 / 이유정 2014  87
    396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법적 측면) / 김재춘 2016  88
    3959 1 윤리학 새로운 인터넷 기반 방송서비스 사업자의 등장과 저작권 침해 문제 - 미국의 에어리오 판결을 중심으로 / 정미경 2015  88
    3958 9 보건의료 공공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노인 사망장소의 결정요인: 지역보건의료자원의 영향 / 임은옥 외 2017  88
    3957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현장에서 질적 확률표현에 대한 의료인-환자 간의 인식 비교 / 오제혁 외 2014  88
    3956 9 보건의료 유럽 각국의 의약품 정책과 제네릭 시장 점유율과의 연관성 분석 / 장경섭 2018  88
    3955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 기증·이식에 관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지혜 2011  89
    3954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기술의 경향과 윤리 / 이병욱 2010  89
    3953 9 보건의료 의료분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규제 현황 고찰 및 개선방향 연구 / 조한범 2018  89
    3952 5 과학 기술 사회 『나를 보내지 마』를 활용한 과학소설의 학제간 교육 사례연구 / 손나경 2018  89
    3951 13 인구 지방자치단체별 출산율 영향요인 연구: 사회·문화적, 경제적, 정책적 요인을 중심으로 / 오삼권 외 2018  89
    395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89
    3949 23 연구윤리 황우석 이후 연구진실성 거버넌스의 변화 / 김명심 2015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