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環境法 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96174 
제목식물유전자원의 ABS체제 -나고야의정서와 ITPGRFA조약의 관계를 중심으로-
영문명

Access to Plant Genetic Resources and Its Benefit Sharing System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goya Protocol and ITPGRFA Agreement-

저자오선영 ( Sun Young Oh )
학술지명環境法 硏究
권호사항Vol.36No.2[2014]
발행처한국환경법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13-233
언어Korean
발행년도2014
주제어


나고야의정서,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국제조약,접근 및 이익공유,양자체제,다자체제,식량농업유전자원,

식물유전자원,상호지지,Nagoya Protocol,ITPGRFA,ABS,Bilateral System,Multilateral System,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Plant Genetic Resources,Mutually Supportiveness

초록



나고야의정서 발효를 앞두고 각 국마다 유전자원 및 이와 관련된 전통지식의 접근 및 이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당 의정서와 ITPGRFA조약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양 조약의 적용대상이 서로 중첩되는 동시에서로 다른 ABS체제를 지니고 있어,

그 충돌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나고야의정서는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가 PIC과 MAT으로

이루어지는 양자체제인 반면 ITPGRFA조약은 SMTA에 따라 접근과 이익공유가 이루어지는

 다자체제로 운영된다. 그리고 ITPGRFA조약의 적용대상인 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은 넓은 범주로는

유전자원에 해당되어 나고야의정서의 규율대상이기도 하여 양 조약간의 적용 범주에 대한 충돌이

예상되지만, 나중에 채택된 나고야의정서가 그 본문에 유전자원의 ABS에 관한 특별 국제 문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서가 적용이 되고 당 의정서가 당사국을 구속하지 아니함을 명시하여

양 조약의 적용대상을 분명히 구분하고 있다. 양 조약은 일반조약과 특별조약의 관계라기보다는

생물다양성을 보존한다는 공통의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로써 신의성실(good-faith)의 원칙에 따라 양 조약의 권리 및 의무를 서로 침해하지 아니하면서

양자가 서로 협의하여 유전자원의 안전한 확보, 적절한 접근 및 공정하고 공평한 이익공유를 실현해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 조약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정부 역시 식량안보와

직결되는 식물유전자원의 ABS대응방안 마련을 신속히 준비하여야 한다. 먼저 적용대상이 되는

유전자원의 범위를 국내이 행법률에 명확화하는 등의 국내 법률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나아가

식물유전자원의 ABS관련 규정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업무를 도와줄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지원을 강화하고 유전자원의 유형에 따른 국가책임기관간의 상호 협력과 지원정책 마련도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는 산업지원정책 마련, 연구개발 지원 및 교육 홍보 강화에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초록



Before the Nagoya protocol, ITPGRFA already entered into force, and thus it is needed to clarify

overlaps and possible areas of different rules. While the Nagoya Protocol requires a Bilateral

Bystem for the ABS, ITPGRFA requires the countries agree to establish an Multilateral System

 to facilitate access to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and to share the benefits

in a fair and equitable way.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BS regulatory

frameworks at domestic level will need to ensure that legislative, administrative or policy

measures taken are consistent and mutually supportive with these two ABS instruments,

Nagoya protocol and ITPGRFA.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rface between ITPGRFA and

  Nagoya protocol and their implications on access and benefic-sharing to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The paper also highlights issues for consideration at the

 national level to implement these treaties in a mutually supportive manner through legal,

 administrative or policy measures. In order to avoid conflicts between these two agreements,

it is needed to clarify which agreement applies to specific genetic resources by domestic regulations.

Furthermore, providing a help-desk and strengthen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competent

 national authorities are strongly needed. Finally, preparing the supporting policies for industries,

funding research and advertisement educ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are also importa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28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 생성정보의 처리 체계 - 추론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박광배 외 2017  105
1027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5
1026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2014  105
1025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1024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1023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102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2010  105
1021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1020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1019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1018 9 보건의료 구글이 선택한 바이오 기업들 / 민세주 2018  104
1017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1016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
101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신은주 2016  104
1014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기기 유통에 관한 정책 및 법제 고찰 / 김정진 2017  104
1013 1 윤리학 공공기관 자료의 의학연구 활용원칙과 윤리지침 / 유상호 외 2013  104
101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4
1011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장아영 외 2018  104
1010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4
1009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