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관련링크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ey=3424417 


[KISS 한국학술정보 : 연구원내 무료 열람 가능]



임종기 환자 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의 태도: 완화적 진정을 중심으로



오승민 ( Seung Min Oh ) , 박미현 ( Mi Huyn Park ) , 김영훈 ( Yeong Hoon Kim ) , 김평만 ( Pyung Man Kim )

한국의료윤리학회,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9권1호 (2016), pp.60-73




한국어 초록

  •    완화적 진정은 말기 환자가 임종할 때까지 지속적인 깊은 진정을 유도하는 의료행위로, 임종을 앞당기려는 의도 없이, 다른 방법으로는 조절이 불가능한 여러 증상을 경감시키려는 목적으로 시행되는 완화의료적 접근이며, 안락사나 의사조력자살과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의료 행위이다. 그러나 그 경계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직접적인 시행에는 지속적으로 논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완화적 진정을 중심으로 임종기 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의 태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진료지침 및 관련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병원의 전문의 88명을 대상으로2013년 5월 및 9월에 직접적 지면기입방식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응답율 95.5%). 설문지는 기존의 임종기 의료 결정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에서 사용된 것으로 크게 능동적 적극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의료의 유보 및 중단, 그리고 완화적 진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연명의료유보(73.8%), 완화적 진정(47.6%), 연명의료중단(20.2%), 능동적 적극적 안락사(8.3%), 의사조력자살(4.7%)의 순으로 찬성하였으며,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완화적 진정(27.3%), 연명의료중단(20.2%), 의사조력자살(15.4%), 능동적 적극적 안락사(10.7%), 연명의료유보(9.5%) 순으로 나타나완화적 진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완화적 진정과 능동적 적극적 안락사나 의사조력자살과의 구분 등 임종기 의료 결정에 있어서의 진료지침의 개발과 이에 대한 졸업 후의학교육의 시행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는 단순하게 한 순간의 의료 행위 여부 만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연속적인 의사소통 과정으로 이해되어야만한다는 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키워드
  • 임종기 의료결정, 완화적 진정, 의사 인식, 진료 지침, 졸업 후 의학교육, end-of-life care, palliative sedation, medical guidelines, doctors` perceptions, post graduate medical education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6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변호사들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이경남, 김분한, 이훈희 2010  342
    1367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42
    1366 2 생명윤리 행위지침 제시에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학적 방법론 모색: 비췀과 췰드리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목광수 2014  343
    13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1364 1 윤리학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 소병철 2017  343
    1363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1362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공학자의 사명과 역할/김경천 2002  344
    1361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 캘리포니아의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제 분석 2017  344
    1360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1359 9 보건의료 의료 관련 감염의 예방과 치료 / 우준희, 장미수 2016  344
    1358 2 생명윤리 연명의료에 대한 윤리적 논쟁 / 홍준표 2018  345
    1357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5
    13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5
    135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불확실성과 간 공여 영향 요인 / 전희옥, 박호란, 박진희 2005  345
    »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의료 결정에 대한 의사의 태도: 완화적 진정을 중심으로/오승민 외 2016  345
    1353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2017  345
    1352 23 연구윤리 연구 관련 이해상충에 대한 법정책적 문제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8  345
    1351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6
    135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46
    1349 15 유전학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환원주의 / 정상모 2000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