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A Study on legal regulations for baby"s right to life : around a matter of abandonment of baby and babybox



  • 제어번호 :    101779067

    저자명   :     엄주희(Eom, Juhee)                       

  • 학술지명  :  서울법학                

    권호사항  :  Vol.23 No.3 [2016]     

    발행처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91-124(3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6년

    재정보   :   KCI등재


    http://www.riss.kr/link?id=A101779067


  • 주제어

    영아유기 ,생명권 ,자기결정권 ,익명출산 ,비밀출산 ,혼인과 가족의 보호 ,abandonment of a baby ,right to life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onymous birth ,secret birth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 베이비박스는 중세 때 양육이 곤란한 사람들이 아이를 맡기도록 하기 위하여 종교시설과 고아원 담장에 설치되었던 전통에서 시작하여 2000년 전후로 세계 여러나라에 설치되었다. 국내 유일의 베이비박스가 2009년도부터 설치 운영되고 있는데 2013년도 입양특례법으로서 입양허가제가 도입된 이후에 영아유기가 급증하고 베이비박스에 들어오는 영아의 수도 급증하였다. 베이비박스 이용행위와 영아유기의 문제점을 규범적으로 살펴보고 해외의 입법례를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째, 베이비박스에 영아를 두는 행위는 영아유기죄의 위법성이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책 조항을 두어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영아를 양육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사람이 영아를 유기하지 않고 국가와 사회에 맡길 수 있는 최후 수단으로서 베이비박스가 기능하기 때문에 아동의 생명권 보호의 문제가 된다. 세 번째 영아의 양육과 성장에 대해 국가가 부모와 더불어 공동의 책임을 부담한다. 가정 내 양육되고 보호받을 수 있도록 양육에 관한 직접 급여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네 번째 혼인과 가족의 보호라는 헌법적 요청은 친생모의 자기결정권과 동시에 영아의 친생부모를 알권리와 친생부모로부터 양육될 권리 등을 통해 혼인과 가족생활을 스스로 결정하고 형성할 자유를 보장한다. 전세계적으로 베이비박스가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독일과 체코에서 익명출산과 비밀출산을 법제화하여 운영함으로써 영아의 복리 증진과 친생모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는 사례가 우리나라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규범적 고찰
  • Ⅲ. 해외 베이비박스 법제 현황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48 15 유전학 바이오시대의 유전정보관리통제권 / 정덕영 2009  314
    154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이은영 2015  314
    1546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2016  314
    1545 18 인체실험 황우석 교수사태 관련 한국 언론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 : 매체간. 매체내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석봉 2006  314
    154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2015  314
    1543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소고 / 구자완 2015  314
    1542 9 보건의료 독일에서 동종의약품의 허가 규정 / 김은미, 김형중, 조정희 2007  315
    1541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15
    1540 8 환자 의사 관계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최규연 2017  315
    1539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1538 2 생명윤리 생물II교과서의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박혜정 2010  316
    »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2016  316
    1536 15 유전학 임상으로부터 분리된 Candida albicans의 MLST를 통한 유전적 변이 분석 / 김희진 2016  316
    1535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6
    1534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1533 9 보건의료 맞춤의료를 위한 체외진단다지표검사(IVDMIA)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316
    1532 1 윤리학 의료법세션 : 최근 국가 의료정책의 변화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평석 / 김향미 2012  317
    1531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에 관한 사설과 칼럼의 프레임과 내용 분석 / 지승재 2016  317
    1530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의 근거와 한계- 독일 항공기 저먼윙즈(Germanwings) 참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군나 두트게, 장영민, 손미숙 2015  317
    1529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정대성 2015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