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9411 



생식세포 및 배아 대상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Issues of Genetic Modification in Human Embryo and its Future Orientation



 저자명  : 김한나(Kim, Han-nah)  ,김성혜(Kim, Sung-Hae)  ,김소윤(Kim, So-Yoon)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 Vol.23 No.2 [2015] 

 발행처 :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211-224(14쪽)

 언어 : Korean

 발행년도  : 2015년

 등재정보 : KCI등재

 주제어
맞춤형 아기  ,생식세포 유전자 치료  ,유전자 편집  ,미토콘드리아 대체  ,법적 · 의학적 · 사회적 함의  ,Designed baby  ,germline gene therapy  ,gene editing  ,mitochondrial replacement  ,legal  ,medical and social implications 


 판매처
(주)누리미디어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http://www.riss.kr/link?id=A101739411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germline gene therapy) 에 관련된 최신 연구 및 국제 법제 동향을 분석하고 의학적 · 법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유전자 조작을 시행하는 유전자 치료를 금지해왔는데, 이는 인간배아 내지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사회적 합의에 근거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 중국에서는 배아대상 유전자 편집 연구가 성공하면서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현실화 가능성이 열려지고,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해서도 최근 영국이 기술의 허용을 합법화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연구 규제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직까지 영국을 제외한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는 인간 생식세포 및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교체 기술에 대한 연구는 금지하고 있다. 연구를 허용하지 않는 것은 유전자 편집 연구도 마찬가지이나 유전자 편집 연구는 규범의 강제성이 국가마다 상이할 뿐 아니라 관련 규정도 모호하여, 완벽하게 유전자 편집 연구를 금지하지는 못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중국 사례를 보듯이 인간 배아의 유전자 편집 연구는 아직까지 기술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고, 인간 복제나 자원 분배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헌법재판소 판결에서 배아에 대한 생명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최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개정안은 유전자 치료 및 유전자 치료 연구에 대한 의학적 재검토를 통하여 포괄성 내지 일관성을 보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6
4528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452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50
452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1
4525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4524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1
4523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2017  51
4522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1
4521 2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강명호 2017  51
4520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1
4519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4518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1
4517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1
4516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4515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451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2
4513 2 생명윤리 인생의 시작과 전인적 이해 / 정재우 2017  52
4512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2
45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2
4510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2
4509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