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전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53690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A Clinical Review of Patients Who Underwent Renal Transplantation in China / 이태환



저자 이태환
형태사항 38 p.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성광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 의학(내과학) 2007. 2
KDC 514.255
DDC 617.95
발행국 전라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7
소장기관 군산대학교 도서관,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목적: 말기신 환자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신대체 요법은 신이식이다. 그러나 신장 공여자가 부족하여 신이식의 활성화가 제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에서 신장 이식을 받고 돌아오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중국에서 신장 이식을 받고 돌아온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임상적인 특징을 고찰하고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치료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사이에 중국에서 신장 이식 수술을 받고 전북대학교 병원 신장내과에서 추적 진료 중인 2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소견서 및 검사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6명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7.4 (30-65)세이었고, 남자가 19명 (73%), 여자가 7명 (23%)이였다. 말기신에 이르게 된 원인 질환은 고혈압이 14명, 당뇨병이 7명, 사구체 신염이 2명, 다낭성 신증 2명, 원인 미상이 1명 이었다. 이식 수술 전 혈액투석은 20명(80%), 복막투석은 4명(20%)이었다. 투석 환자 전체의 평균 투석 기간은 20.6개월이었다. HLA 부적합 수는 평균 3.25이었고, 중국에서의 경과 관찰 기간은 평균 14.7일 (10일-22일) 이었다. 중국에서 사용된 면역억제제는 대부분 귀국 후에도 유지하였고 부분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조절하였다. 혈종이 발생한 환자가 두 명, 요 누출이 한 명, 수술창 열개 및 창상 감염이 한 명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급성 거부 반응이 두 명의 환자에서 있었고, 한 명의 환자에서 급성 세뇨관 괴사가 발생하였다. 한 명의 환자에서 새롭게 당뇨병이 진단되었다. 한 환자는 BK virus 감염이 확인되었다. 관찰 기간 동안 한 환자가 수술 후 15개월 만에 사망하였고, 나머지 환자들은 생존하고 있다.
결론: 수술이 중국에서 이루어진 관계로 수혜자 및 공여자의 HLA를 포함한 충분한 사전 정보와 자료가 불충분하고, 혈종, 요누출, 수술창 열개 등 외과적 합병증과 거부반응, 감염, 당뇨병 등 내과적 합병증에 노출되기 쉽다. 그러므로 도착 시 철저히 합병증과 이식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목차
1. Abstracts
2. 서론
3. 방법
4. 결과
5. 고찰
6. 참고 문헌
7. 요약
8. 표 및 범례


주제어
kidney, China, transplantation, 신장 이식수술, 환자의 임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3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337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5  890
336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2014  861
33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52
334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80
332 20 죽음과 죽어감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비시행(DNR)에 대한 윤리적 태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 / 한수옥 2010  779
331 20 죽음과 죽어감 중증·말기 환자의 심폐소생술 거부에 대한 의사와 환자보호자의 인식 차이 / 정영란 2014  778
330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시술에 적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부화술에 관한 연구 / 박성백 2014  777
32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7
32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32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43
326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37
325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2015  725
324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323 18 인체실험 수컷 생식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식독성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 전혜련 외 2015  685
322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5
321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32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