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 의과대학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801989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Optimal MR cholangiography in evaluation of hilar branching anatomy of living adult liver donors

 / 임준석



저자 임준석
형태사항 66장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Myeong-Jin Ki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Dept. of Medicine 2007.2
발행국 서울
언어 영어
출판년 2007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에 위해, Gd-BOPTA 조영증강 자기공명담관 조영술 (Gd-BOPTA MRC)과 T2 강조 삼차원 자기공명담관조영술(volumetric T2-MRC)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 생체부분 간이식에 특화된 적정 자기공명영상기법을 정립하기 위해서이다.연구대상 및 방법:Part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D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88 간이식 후보자들이 조영증강 MRC를 시행 받았다 (Mn-DPDP MRC: n=36 과 Gd-BOPTA MRC: n=52). 질적 평가를 위해 두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MR영상을 판독하였으며 총담관, 우담관, 좌담관, 그리고 이차분지 별로 4점 척도로 점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양적 평가를 위해 Contrast to Noise비를 간실질과 총담관에서 측정하였다.Part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우간엽 절제술을 시행받은 11명의 공여자를 대상으로 한명의 영상의학과 의사와 한명의 외과의사가 모든 MR영상을 판독하였고 그소견을 수술 소견과 수술 담도조영술과 비교하였다. 또한 두명의 다른 영상의학과 의사가 두가지 영상 조합 (기존의 T2-single section single shot RARE sequence (conventional T2-MRC)와 기존의 검사에 Gd-BOPTA MRC를 같이 판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해석에서 간문계 해부학적 변이와 그 진단신뢰도를 기록하였다.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본 연구는 33명의 생체부분 간이식을 위해 우간엽 절제술을 시행받은 공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공여자는 세종류의 자기공명담도조영술을 시행받았다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 세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각각의 검사에서 담도관의 visualization score와 artifact의 정도를 기록하였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Part 3와 동일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세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비조합형 영상 (conventional T2-MRC)과 조합형 영상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 conventional T2-MRC와 Gd-BOPTA MRC, 그리고 모든 검사의 조합)을 판독하였고, 각각의 영상에서 예상되는 담관구의 수와 진단 신뢰도를 기록하였다. 예상되는 담관구의 수는 수술소견과 비교하였으며 또한 각 영상의 평균 정확도와 그 신뢰도를 비교하였다.연구결과:Part 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Mn-DPDP MRC와 Gd-BOPTA MRC는 총담관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없는 visualization score를 보였다 (p = .380, Mann-Whitney U test). 또한 branching duct에서는 Gd-BOPTA MRC가 Mn-DPDP MRC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담관: p = 0.016, 좌담관: p = 0.014, 우측 이차분지: p = 0.006, 좌측 2차 분지, p = 0.003). 양적분석에서도, Gd-BOPTA MRC 총담관/ 간실질의 CNR (38.90±24.50) 이 Mn-DPDP MRC의 CNR(24.14±17.9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03, Student’s t test).Part 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전향적 분석에서 두 공여자에서 담도계 병이를 확인하였고 이는 수술 소견과 일치하였으며 후향적 분석에서는 조합영상의 진단신뢰도가 conventional T2-MRC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전체 담도의 평균 visualization score 는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가 Gd-BOPTA MRC보단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의 conventional T2-MRC 와 volumetric T2-MRC비교에 있어서는 volumetric T2-MRC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Gd-BOPTA MRC는 다른 두검사기법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artifact를 보였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조합영상간의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 정확도와 진단신뢰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조합형 검사는 conventional T2-MRC만을 시행한 경우보다는 높은 정확도와 진단신뢰도를 보였다.결론:Part 1: 확장되지 않은 담도 조영에 관한 Mn-PDP자기공명담관조영술 (Mn-DPDP MRC)과 Gd-BOPTA MRC 비교: Gd-BOPTA MRC는 담도 조영을 위한 기존의 Mn-DPDP MRC를 대체할 수 있다.Part 2: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Gd-BOPTA MRC의 임상적 적용: Gd-BOPTA를 이용한 자기공명 영상은 간공여 후보자의 술전 진단에 있어서 혈관과 담관의 해부학을 같이 파악할 수 있는 포괄적 영상 기법이다.Part 3: 담도계 조영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volumetric T2-MRC는 담도계 조영에서 가장 높은 visualization score를 보이고 반면 Gd-BOPTA MRC는 가장 적은 artifact를 보인다.Part 4: 우간엽 절제시 얻어지는 담관구의 수 예측에 있어서 conventional T2-MRC, volumetric T2-MRC그리고 Gd-BOPTA MRC의 비교 분석: 기존의 conventional T2-MRC와 다른 두 영상기법의 조합은 생체부분간이식을 위한 공여자의 담도계 해부학의 술전 검사에서 적정 자기공명 영상기법으로 여겨 진다.


주제어
자기공명영상, 간이식, 담관, 담도조영술, 조영제, liver transplantation, bile ducts, cholangiography, magnetic resonance, contras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198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19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50
195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2015  348
194 1 윤리학 인간존엄성 : 인간중심적 사고의 부활인가? / 김종엽 2010  347
19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 이현정 2013  346
192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191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진료에서 치료거부와 원칙으로서의 자율성 / 김아진 2015  344
190 9 보건의료 병원 전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소생술 중단 기준 결정을 위한 분석 / 강현주, 정진희, 어은경, 배현아 2010  341
18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 정순둘, 김수현, 구미정 2014  341
18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87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18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
185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184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8
183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5
»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4
18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이현선 2015  333
180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201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