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0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4222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USE or Provision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and Legislative Improvement / 김기범


제어번호 101954222
저자명 김기범(Gi Bum Kim) 
학술지명 법학연구
권호사항 Vol.61 No.- [2016] 
발행처 한국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21-142(22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Interest in leveraging personal information has substantially grown up along with the recent craze of big data. This growing interest undoubtedly affecte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terms of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the system possesses. It is ideal to take advantage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only in pursuit of criminal cases. It inevitably entails Constitution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rivac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are argument about the necessity to utilize the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national and social problem. In fact, the National Police Agency started using geographic profiling system for crime prevention purposes. Other diverse examples can be found such as a community safety service based on a crime map of the Ministry of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s well as academic studies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gainst this backdrop, it is highly required to start a legislative discussion whether to permit the use or provision other than intended purposes, and if permissible, the extent to which the use or provision is allowed.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making clear the purpose of collecting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to minimize controversy about use of the information within such purpose. It also claims that use or provision other than intended purpose shall be limited to crime prevention, statistics, and academic research on the premise that the information is rendered unrecognizable and anonymized. It ends with a legislative proposal for such util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형사사법정보 개념 및 이용.제공 법제
Ⅲ. 형사사법정보 이용.제공 실태 및 허용성 판단
Ⅳ. 형사사법정보 이용.제공 범위 및 입법방향
Ⅴ. 결 론


주제어
형사사법정보  ,형사사법정보시스템  ,개인정보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빅데이터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Korean Information System of Criminal Justice System  ,KICS  ,personal information  ,self determination of privacy  ,bigdat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23
19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2
1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와 법적 과제 / 김종호 2018  173
17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5
16 9 보건의료 의료기관 빅데이터 품질관리의 필요성과 사례 분석 /최혜린 외 2017  312
15 9 보건의료 정형화 수준에 따른 의료 데이터 분류 및 분석 / 이미연 외 2014  78
1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2
1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7
12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11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빅데이터 현황과 발전방향 / 김주미 2018  315
1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분야에서 빅데이터(의료이용자료)의 활용/김현정 2018  280
9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8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70
7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50
6 1 윤리학 빅데이터 활용과 인권보호 / 김영진 2017  254
5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6
4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50
3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4
2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4
»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