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미국사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550796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Medical Research on Tropical Diseases and Corporate Patronage in the early Twentieth-century America : A Case on Richard Pearson Strong(1872-1948)



 
제어번호 101550796
저자명 정세권(Se-Kwon Jeong)
학술지명 미국사연구
권호사항 Vol.42 No.- [2015] 
발행처 한국미국사학회 
발행처 URL http://www.AmericanHistor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99-231(33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이 글은 리처드 피어슨 스트롱(1872-1948)의 열대질병 연구와 그가 속해 있던 하버드 열대의학과 사례를 통해 20세기 초 미국 열대의학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미국을 포함한 서구의 열대의학은 19세기 중후반부터 비약적으로 발달한 실험의학과 제국주의적 팽창의 산물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하버드 열대의학과에 재직하며 열대를 탐험한 스트롱의 사례는 열대의학을 고정되고 단일한 무엇이 아니라 이질적인 의학적 실행들의 묶음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스트롱의 열대질병 연구는 병원체를 확인하고 치료제/백신을 개발하는 실험실 의학뿐 아니라 질병의 증상을 관찰하고 분류하는 전통적인 임상연구와 자연사 연구가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열대질병을 직접 관찰할 수 없었던 그리고 신생 열대의학과를 운영할 제반의 조건이 마련되지 않았던 하버드 의과대학을 벗어나 스트롱은 열대질병의 현장으로 진출해야 했다. 1913년 중남미 탐험을 위해 스트롱은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UFC)라는 교역회사의 후원을 적절히 활용했다. 공식적 식민지가 아닌 지역을 연구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었던 상황에서 스트롱은 상업자본의 이해와 열대의학 연구를 결합시켜 새로운 후원자를 얻을 수 있었고, 이는 탐험 이후에도 열대의학을 정당화하는 하나의 수사로 이어졌다. 스트롱의 사례는 열대의학을 이질적 의학적 실행들의 묶음으로 이해할 때 열대의학이 각 공간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제국-식민지라는 정치적 구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후원관계 속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목차
Ⅰ. 서론
Ⅱ. 리처드 피어슨 스트롱과 하버드 열대의학과
Ⅲ. 1913년 중남미 탐험
Ⅳ. 열대의학 연구와 상업적 후원
Ⅴ. 나가며


주제어
리처드 피어슨 스트롱(Richard Pearson Strong)  ,열대의학(Tropical Medicine)  ,과학적 탐험(Scientific Expedition)  ,상업적 후원(Corporate Patronage)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United Fruit Company)  ,하버드 의과대학(Harvard School of Medicin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28 9 보건의료 바이오,제약 특허의 발전과 Patent Troll (특허괴물)에 대한 대응방안 / 김태희 2014  121
1327 1 윤리학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121
1326 14 재생산 기술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김은애 2009  121
1325 15 유전학 Tomato ringspot virus 검역진단시스템 개발 / 이시원 외 2015  121
132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송영민 2014  121
1323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20
1322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20
1321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 이식술을 받은 젊은 환자에서 발생한 2예의 지연성 칸디다 척추 골수염 / 강민석 외 2019  120
1320 4 보건의료 철학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의료행위의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20
1319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의 생명윤리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이해 / 조성연 2018  120
1318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 이다은 외 2018  120
1317 9 보건의료 탈북보건의료인의 국내 보건의료인 자격취득 지원방안 / 민하주 외 2017  120
1316 9 보건의료 국민안전과 존엄을 위한 의료법제의 정비 / 정철 2015  120
1315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 영향 요인 / 김명숙 외 2018  120
1314 9 보건의료 한국인 고혈압 환자의 의료접근성 및 미 충족 의료실태와 위험요인 분석 / 오희영 외 2017  120
131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 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관리 강화 방안 / 정영철 2018  120
131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주강진 외 2017  120
131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 권수현 2018  120
1310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 심리사회적 지지와 죽음준비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 / 조창운 2018  120
1309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생명윤리의식에 관한 간호연구의 동향 / 최미선 2018  120